신한국당의 소위 차기대권주자들이 상대방의 당내 경선행보를 놓고 감정적인
대응을 하는 등 이들간의 갈등양상이 심화되고 있다.

그동안 이한동 상임고문을 비롯한 상당수의 차기주자들로부터 대표직을
맡기 전에 한말(대표는 경선을 포기해야 한다)을 뒤집은 것을 놓고 비난받아
온 이회창 대표는 20일 이들에 대해 직격탄을 쏘았다.

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를 자청, "당의 분열을 조장하는 것처럼 비쳐지는
언행이 해당행위로 비쳐지지 않을까 걱정된다"며 "당 대표로서 그런 상황이
오지 않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당내 "반 이회창 연대세력"의 당지도부 비판 등
독자행동이 계속될 경우 당대표로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가능성을 경고한
것으로 해석돼 주목된다.

이대표는 "더 이상 당의 분파가 있는 것처럼 비쳐지고 소모적인 견해대립
양상을 띠는 것은 집권 여당으로서 전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대표는 그러나 "해당행위"의 개념에 대해서는 "원론적인 생각을 얘기한
것으로 이해해 달라"고만 말하고 특정인사를 거명하지 않은채 "그분들도
당의 미래를 위해 좋은 뜻으로 얘기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반 이대표" 진영에서는 "당운영의 비민주적 행태를 비난하면
해당 행위가 된다는 얘기인지 도무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민주계의 한 인사는 "이대표의 좌충우돌식 발언이 오히려 민주계의 그에
대한 감정을 더욱 격하게 만들고 있다"며 "당이 단합해 난국을 헤쳐나가야
하는 마당에 누가 해당행위를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비난했다.

박찬종 고문은 이날 경주에서 거행된 밀양박씨 춘분대제에 참석하느라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한측근은 "당이 단합해야 한다는 근본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 "모듯 잣대를 자신에게 두는 이대표 특유의 소아적인
태도는 문제"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한동 고문은 "당직자들이 해당행위를 못하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그러나 정당한 권리와 의무를 행사하는 것을 문제삼으면 안된다"고 지적
했다고 한 측근이 전했다.

<박정호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