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바닥보다 작은 플라스틱카드(IC카드)가 정보화사회의 실현을 앞당기는
촉매제로 등장했다.

칩카드 메모리카드 LSI카드 스마트카드 등으로 불리는 IC(집적회로)카드가
21세기 정보화사회의 "프로메테우스의 불"에 비유되면서 인류의 삶의 질을
높일 도구로 부상되고 있는 것.

IC카드는 신용카드크기의 플라스틱판에 CPU(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 자체
운영체계(COS)가 칩형태로 내장된 작은 컴퓨터시스템이다.

자체 연산기능도 갖고 있을 뿐아니라 메모리도 자유자재로 늘릴수 있다.

자연 온라인쇼핑 온라인뱅킹 전자상거래가 일상화되는 정보시대에 필수
불가결의 수단으로 인기를 끌 전망.

IC카드는 칩안에 어떤 프로그램을 세팅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쓰일수
있다.

우선 상거래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입력, 돈과 관련된 인간의 모든 거래행위
를 매개하는 수단이 된다.

각종 금융거래에 사용되는 현금카드 선불카드 전자화폐등을 하나의 카드로
대체할수 있어서다.

초소형 휴대형 노트북과 휴대폰 등 통신기기만 들고나니는 정보시대에 맞춰
주머니속의 잔돈과 현금, 지갑을 대신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IC카드는 이와함께 인간의 신분을 인증하는 도구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전망.

정보 보안이 강조되는 전자문개폐나 PC 보안을 위한 개인신분수단으로도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현재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추진중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의료보험증
등 7개의 각종 신분증을 통합한 전자주민카드(NID)의 경우 공공업무와
신용거래시 필요한 각종 신분증을 대신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인터넷 등 각종 네트워크환경의 확산에 따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보안문제도 IC카드로 해결할 수 있다.

IC카드에 쓰이는 칩에는 DES RSA방식의 암호알고리즘이 구현, 현재 사용되는
어떤 보안체계보다 확실한 보안기능을 할수 있다는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따라서 IC카드는 앞으로 온라인쇼핑 온라인뱅킹 등 각종 사이버상의
상거래나 멀티미디어통신시 발생할수 있는 해킹의 위험을 줄일수 있는
필수도구로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IC카드가 다양하게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

우선 행정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가 많다.

정부가 정보화촉진 시행계획에서 추진중인 전자주민증의 경우 국민들의
기본권을 침해할 소지를 안고 있다는 이유로 시민단체의 반대에 부딪혀
도입일정이 늦어지고 있다.

자체 기술 개발의 문제도 크다.

IC카드는 1970년 일본의 아리무라 구니다카에 의해 발명된후 프랑스 등
유럽 각국이 관련기술을 잇따라 개발함으로써 특허기술을 쥐고 있다.

자연 국내 IC카드업체들은 이들로부터 기술과 부품전량을 수입하고 있다
보니 기술적 종속에서 벗어나기 힘든 실정이다.

현재 삼성전자 현대전자 LG정보통신 등 3사가 IC카드에 사용될 알고리즘과
칩을 자체 개발중이나 표준없이 중구난방식으로 진행돼 중복투자의 위험과
비호환성의 문제점도 안고 있다.

정부나 민간이 힘을 모아 정보화사회의 필수도구인 IC카드의 1백% 국산화에
더욱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 때문이다.

어쨌든 만능의 IC카드가 여는 새 세상은 정보화 촉진과 함께 생활의 질을
한층 더 높이면서 우리 곁에 성큼 다가설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박수진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