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나온책] (경제/경영) '발목경영 병목경영' 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벤처마케팅 ( 조프리 무어 저 유승삼 역 세종서적 8천5백원 )
초기에 형성된시장과 나중에 형성된 시장사이의 단절을 "캐즘"이라 규정
하고 이를 뛰어넘는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벤처기업의 마케팅능력 배양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한다.
<> 발목경영 병목경영 ( 함형기 저 오롬 7천원 )
포스코경영연구소에 근무하는 저자가 기업의 전략을 사례 위주로 연구해
펴낸 책.
경영을 혁신하려는 의지와 그 방법이 때로는 병목이 되기도 하고 발목이
되기도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 벌기 위해서 배우기
( 피터 린치.존 로스차일드 공저 국일증권연구소 1만원 )
미국의 피델리티 투자신탁회사의 펀드매니저였던 피터 린치와 "타임"지
증권칼럼니스트였던 로스차일드가 증권투자 성공법을 강의한다.
<> 조선의 큰 부자 ( 이용선 저 하늘출판사 8천원 )
조선시대의 인삼왕 해상왕초지왕 제약왕등 7명의 거부들의 재산축적과정을
재미있게 살핀 책.
창업홍수시대인 요즘 돈버는 방법을 독자에게 생각하게끔 한다.
<> 성공한 경영자가 알고 있는 소비자 이야기
( 이광주 외 세경사 1만원 )
사업에 성공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소비자의 기호 욕구
심리상태등을 분석한다.
<> 위기의 성공학 ( 후미히코 가지 저 강김구 역 책만드는집 7천원 )
상식에 얽매이지 않고 발상의 전환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일본 최고경영자
77인의 이야기.
<> 불황을 뛰어넘는 경영
( 나가시마 소우이치로 저 김성민 역 새로운제안 9천5백원 )
적자경영을 초래하는 10가지 유형, 기업의 체질을 진단할수 있는
체크리스트, 불황에서 탈출하기 위한 5가지 전략적 방법및 실천적 절차등을
실었다.
<> 성공적인 상표.상호 네이밍 ( 장하진 저 한국발명진흥회 1만2천원 )
소비자의 기호, 차별화된 제품 개발, 개성있는 브랜드 네이밍을 통해
신제품의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모색한다.
<> 일본이 앞서 달리고 있다
( 쉐리던 다찌노 저 김순규 역 오리진 7천5백원 )
모방에는 적수가 없다는 일본.
그 일본이 높은 과학기술을 자랑하며 세계시장을 주름잡고 있다.
일본의 모방성과 창의성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28일자).
초기에 형성된시장과 나중에 형성된 시장사이의 단절을 "캐즘"이라 규정
하고 이를 뛰어넘는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벤처기업의 마케팅능력 배양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한다.
<> 발목경영 병목경영 ( 함형기 저 오롬 7천원 )
포스코경영연구소에 근무하는 저자가 기업의 전략을 사례 위주로 연구해
펴낸 책.
경영을 혁신하려는 의지와 그 방법이 때로는 병목이 되기도 하고 발목이
되기도 한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 벌기 위해서 배우기
( 피터 린치.존 로스차일드 공저 국일증권연구소 1만원 )
미국의 피델리티 투자신탁회사의 펀드매니저였던 피터 린치와 "타임"지
증권칼럼니스트였던 로스차일드가 증권투자 성공법을 강의한다.
<> 조선의 큰 부자 ( 이용선 저 하늘출판사 8천원 )
조선시대의 인삼왕 해상왕초지왕 제약왕등 7명의 거부들의 재산축적과정을
재미있게 살핀 책.
창업홍수시대인 요즘 돈버는 방법을 독자에게 생각하게끔 한다.
<> 성공한 경영자가 알고 있는 소비자 이야기
( 이광주 외 세경사 1만원 )
사업에 성공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소비자의 기호 욕구
심리상태등을 분석한다.
<> 위기의 성공학 ( 후미히코 가지 저 강김구 역 책만드는집 7천원 )
상식에 얽매이지 않고 발상의 전환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일본 최고경영자
77인의 이야기.
<> 불황을 뛰어넘는 경영
( 나가시마 소우이치로 저 김성민 역 새로운제안 9천5백원 )
적자경영을 초래하는 10가지 유형, 기업의 체질을 진단할수 있는
체크리스트, 불황에서 탈출하기 위한 5가지 전략적 방법및 실천적 절차등을
실었다.
<> 성공적인 상표.상호 네이밍 ( 장하진 저 한국발명진흥회 1만2천원 )
소비자의 기호, 차별화된 제품 개발, 개성있는 브랜드 네이밍을 통해
신제품의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모색한다.
<> 일본이 앞서 달리고 있다
( 쉐리던 다찌노 저 김순규 역 오리진 7천5백원 )
모방에는 적수가 없다는 일본.
그 일본이 높은 과학기술을 자랑하며 세계시장을 주름잡고 있다.
일본의 모방성과 창의성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