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문시장 상가들이 앞다퉈 개장시간을 연장하며 불경기에 대처하고 있다.

30일 동대문재래시장에 따르면 거평프레야등 현대식상가와 기존 재래상가들
이 경쟁적으로 개장시간을 연장, 도매고객은 물론 소매고객 유치에 열을 올
리고 있다.

지난해 9월 오픈한 거평프레야의 경우 최근들어 5~6층 원단및 부자재점포를
제외한 대부분의 점포가 오후9시부터 다음날 오후5시까지 20시간 영업체제를
고수하고 있다.

이 상가상우회측은 경기불황으로 도매고객이 준데다 현대식상가의 잇단 개
점으로 도매고객이 분산되어 도.소매를 겸할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
다.

거평프레야 이호훈(이호훈)연합상우회장은 "개장시간 연장으로 소매가 크게
늘어 매출액에서도 도매와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며 대형점포가 지방
에 속속 들어서고 있어 재래시장의 소매기능이 더욱 확대될것으로 분석했다.

흥인시장과 평화시장등 인근상가들도 상가번영회를 주축으로 개장연장 경쟁
에 나서고 있다.

흥인시장은 이달초부터 의류상가 개점시간을 오전8시~오후9시에서 오전8시
밤1시로 4시간 연장했다.

평화시장도 아동복 숙녀복점포가 몰려있는 2층상가의 경우 오후11시부터 다
음날 오후6시까지로 연장영업하고 있다.

이밖에 제일평화 덕운 광희 신평화 청평화시장등 상가점포들도 잇따라 개폐
장시간을 조정하고 있다.

덕운시장의 경우 상가번영회가 개장시간만을 오후6시로 고시하고 폐장시간
은 점포자율에 맡겼다.

디자이너스클럽 아트프라자 우노꼬레등 현대상가들은 소매고객 유치를 위한
개장연장이 오히려 도매고객을 쫓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내
비치고 있다.

그러나 입점점포들이 영업시간을 연장하고 있어 동대문상가간 개장연장경쟁
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 손성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3월 3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