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은행 장명선행장이 지난해 9월 삼익악기 부도직전 당시 윤진식청와대비
서관에게 부도관련 정보를 알려주는 등 기업자금사정을 포함한 금융정보를
청와대에 제공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장행장은 2일 국회한보특위 국정조사에서 신한국당 이사철의원이 한보철강
대출과 관련한 외압여부를 밝힐 것을 요구하자 이같은 정보제공 사례를 거론
하며 "외압은 없었으며 다만 윤비서관에게 연초 한차례 직접 전화를 걸어 1
천억원의 대출을 거부한 이유를 설명했다"고 검찰진술내용을 확인했다.

이같은 장행장의 발언은 정부가 그동안 한보특위에서 개별기업의 자금사정
등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않고 있다는 재경원 등의 주장을 뒤집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또 이날 특위에서 조흥 외환 서울은행 등은 한보철강에 대한 대출과정에서
산업은행 자회사인 한국기업평가가 작성한 사업타당성 검토보고서를 아무런
이의제기없이 수용, 대출근거로 활용했다고 밝혔다.

여야의원들은 그러나 한기평의 보고서가 사실상 한보철강이 제시한 자료를
기초로 작성되고 사업성평가결과 등 주요부분이 허위이거나 조작된 것으로
특혜대출을 정상적인 대출로 위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됐다고 지적했다.

이에대해 장철훈행장은 "대출을 승인하기 전에 다른 기관에 사업성 평가를
의뢰했어야 했다"며 대출결정과정의 잘못을 시인했다.

반면 장명선행장은 "자체적으로 평가를 의뢰했다고 해도 결국 한기평에 했
을 것"이라며 한기평 보고서 인용의 불가피성을 주장했다.

여야의원들은 또 이날 대출외압여부를 집중 추궁했으나 은행장들은 자율적
인 결정이었다고 거듭 밝혔다. <허귀식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