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후보 경선을 앞두고 특유의 "현장정치"로 세몰이에 나서고 있는
신한국당 박찬종 고문이 최근 경제난을 감안, "경제살리기"에도 일조하려는
잰걸음을 하고 있어 주목된다.

박고문은 3일 오후 미국 대사관을 찾아 리차드 크리스텐슨 대리대사를
만났다.

그는 이자리에서 "최근 방한한 앨 고어 미 부통령이 우리 시민단체 등에서
펼치고 있는 소비절약과 저축캠페인을 무역장벽이라며 중지를 요구한 것으로
안다"며 그에 대한 유감과 반론을 제기했다.

박고문은 "한국은 지금 경제가 제2의 멕시코가 우려될 정도로 어려운 상황
이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중 최악의 경상수지 적자국에다 경제는
가히 "긴급피난적 상황"에 처해 있다"며 "일련의 소비절약운동은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미국은 대한 흑자국인 만큼 이해해달라"고 요청했다.

박고문은 "미국도 지난 80년대말과 90년대초 경제가 어려울때 소비절약운동
과 미국상품 구매운동을 벌이지 않았느냐"고 반문하면서 "한국이 세계 경제의
주요 시장의 하나로 계속 남아 있으려면 일단 이 상황을 피할 수밖에 없으며
장기적으로 보면 그것이 미국경제에도 좋은 만큼 오히려 미국이 도와야 한다"
고 역설했다.

그는 5일 오전엔 일본대사관을 방문해 야마시타 신타로 대사를 만나 무역
역조 시정 등을 촉구하는데 이어 7.8일 이틀간 도일, 특강을 통해 한국경제
회생을 위한 일본측의 협력을 당부할 계획이다.

박고문은 이에 앞서 여의도 당사에서 이회창 대표를 면담한 자리에서 부패
추방과 정치자금법 전면 개정을 위해 당내에 "경제비리및 정경유착근절특위"
를 설치하고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향후 60일간 비상 당정협의체제를 구축해
상시적인 당정협조가 이뤄지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박고문은 이와함께 당차원의 경제위기극복을 위한 국민공청회를 전국 15개
시.도에서 열어 소비절약및 저축증진을 위한 사회분위기를 조성하는 방안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국제수지 적자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호화사치품 수입을 억제하고
수입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해야 한다"면서 "국내 제조업 회생을 통한 경제
살리기를 위해 신물산장려운동을 범국민적으로 전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박정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