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가] 생생한 청소년현장 '신세대보고' 100회 돌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청소년의 갈등과 고민을 드라마 형식에 담아 살펴보는 KBS1TV의
"신세대보고 어른들은 몰라요" (목 오후 7시35분)가 10일로 방송 1백회를
맞는다.
93년 "TV교육위원회"로 시작돼 95년 2월 23일 "신세대 보고"로 바뀐 뒤
계속 방영돼 장수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은 것.
이 드라마는 다큐멘터리 제작이 본업인 교양PD들이 연출을 맡아 비교적
강한 리얼리티를 드러내는 점이 특색.
청소년들의 현안에 빨리 대응하기 위해 PC통신, 인턴PD 재활용,
소재투고 등을 활용한 리얼타임 소재 채택방식을 써왔다.
그 결과 사회적으로 금기시되고 있는 미혼모와 학교체벌 문제를 제외한
웬만한 소재는 거의 취급했다.
소재 확대에 따라 "청소년의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에게 자칫 모방 충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 프로그램은 또 김수근과 최강희 등 많은 우수 연기자를 배출했다.
10일 1백회 특집에서는 "우리생애 최고의 수학여행"이 방영된다.
홍역 치루기로 통하는 수학여행을 둘러싼 선생과 학생간의 자율과 규제
갈등을 다룬다.
연출 황제연 극본 홍자람.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8일자).
"신세대보고 어른들은 몰라요" (목 오후 7시35분)가 10일로 방송 1백회를
맞는다.
93년 "TV교육위원회"로 시작돼 95년 2월 23일 "신세대 보고"로 바뀐 뒤
계속 방영돼 장수프로그램으로 자리잡은 것.
이 드라마는 다큐멘터리 제작이 본업인 교양PD들이 연출을 맡아 비교적
강한 리얼리티를 드러내는 점이 특색.
청소년들의 현안에 빨리 대응하기 위해 PC통신, 인턴PD 재활용,
소재투고 등을 활용한 리얼타임 소재 채택방식을 써왔다.
그 결과 사회적으로 금기시되고 있는 미혼모와 학교체벌 문제를 제외한
웬만한 소재는 거의 취급했다.
소재 확대에 따라 "청소년의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에게 자칫 모방 충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 프로그램은 또 김수근과 최강희 등 많은 우수 연기자를 배출했다.
10일 1백회 특집에서는 "우리생애 최고의 수학여행"이 방영된다.
홍역 치루기로 통하는 수학여행을 둘러싼 선생과 학생간의 자율과 규제
갈등을 다룬다.
연출 황제연 극본 홍자람.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