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면톱] 서울시, '시민운동' 1백여 사업 선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녹색연합의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사업" 밀알복지회의 "청소년 약물
남용예방 및 재활교육프로그램" 등이 서울시의 올해 시정참여사업으로
선정돼 사업당 최고 3천만원씩의 지원을 받게 된다.
서울시는 8일 민관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시민운동을 활성화
하기 위해 환경 교통 일반분야의 1백여 시민운동사업을 선정, 모두
16억6천만원을 지원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30%가까이 증액된 액수다.
시는 우선 환경 및 일반사업분야에 대해 시정참여사업을 공모한 결과
모두 1백75개 단체에서 2백91개 사업을 신청, 이중 환경분야에서 39개단체
40개사업에 대해 5억8천만원을 지원하고 일반사업분야에서는 50개 단체
55개 사업에 대해 5억7천7백만원을 지원키로 했다고 밝혔다.
환경분야 우수사업으로 뽑힌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사업은 도.농 자매결연
등을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고 퇴비화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한 "환경친화적 소비생활 확산을 위한 녹색 소비시민환경교육"은
재활용상품 구매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환경상품 비교전시회 등을 통해
환경문제 해결에 노력하게 된다.
일반사업분야에서는 약물남용 예방과 재활교육사업과 함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우범지역 인근의 편의점 약국 등을 "지킴이 집"으로 지정하고
청소년을 보호하는 "블루존 프로그램"등이 선정됐다.
시는 "현안과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업을 위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심의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키 위해 시의원 대학교수 언론인
등 외부인 중심으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했으며 특히 환경분야에서는 순수
시민단체인 녹색서울시민위원회에서 주관 심사토록 했었다.
시는 교통분야 시민운동에 대해서도 모두 5억4천만원을 지원키로 하고
대상사업을 심사중이다.
< 김수영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9일자).
남용예방 및 재활교육프로그램" 등이 서울시의 올해 시정참여사업으로
선정돼 사업당 최고 3천만원씩의 지원을 받게 된다.
서울시는 8일 민관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 시민운동을 활성화
하기 위해 환경 교통 일반분야의 1백여 시민운동사업을 선정, 모두
16억6천만원을 지원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30%가까이 증액된 액수다.
시는 우선 환경 및 일반사업분야에 대해 시정참여사업을 공모한 결과
모두 1백75개 단체에서 2백91개 사업을 신청, 이중 환경분야에서 39개단체
40개사업에 대해 5억8천만원을 지원하고 일반사업분야에서는 50개 단체
55개 사업에 대해 5억7천7백만원을 지원키로 했다고 밝혔다.
환경분야 우수사업으로 뽑힌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사업은 도.농 자매결연
등을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고 퇴비화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한 "환경친화적 소비생활 확산을 위한 녹색 소비시민환경교육"은
재활용상품 구매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환경상품 비교전시회 등을 통해
환경문제 해결에 노력하게 된다.
일반사업분야에서는 약물남용 예방과 재활교육사업과 함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우범지역 인근의 편의점 약국 등을 "지킴이 집"으로 지정하고
청소년을 보호하는 "블루존 프로그램"등이 선정됐다.
시는 "현안과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업을 위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는 심의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키 위해 시의원 대학교수 언론인
등 외부인 중심으로 심사위원회를 구성했으며 특히 환경분야에서는 순수
시민단체인 녹색서울시민위원회에서 주관 심사토록 했었다.
시는 교통분야 시민운동에 대해서도 모두 5억4천만원을 지원키로 하고
대상사업을 심사중이다.
< 김수영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