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II면톱] 미-일 반도체업계, '비메모리' 투자 확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도쿄=이봉구 특파원 ]
전세계적으로 반도체 설비투자 의욕이 급랭하고 있는 가운데 미.일 반도체
업체들이 범용 메모리분야에서 탈피,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분야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일본경제)신문이 22일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미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는 올해 반도체 설비투자액을
전년보다 50% 줄일 예정인데 투자액 대부분을 범용메모리외의 분야에 집중
하고 있다.
TI는 올해 투자액 11억달러중 90%를 디지털신호처리용 칩등에 투자, 시황이
악화되고 있는 D램에 대한 투자를 최대한 억제한다는 것이다.
히타치는 메모리사업 비중을 줄이고 비메모리용 제품인 마이컴에 대한 투자
를 확대하고 있다.
히타치는 올해 4백억엔을 투자, 미 텍사스주에 마이콤 전용공장을 건설,
연내에 가동할 예정이며 오는 98년까지 반도체사업중 메모리제품의 비중을
40%에서 30%로 끌어내릴 계획이다.
후지쓰는 올해 투자를 전년 실적에 비해 1백억엔 줄어든 1천8백억엔으로
잡고 있다.
이 가운데 4백억엔을 플레시메모리 증산에 투입할 계획이다.
인텔의 경우 올해 전년보다 50% 늘어난 45억달러의 설비투자를 책정하고
있는데 초미세 회로기술을 사용한 최첨단 마이크로프로세스등에 투자를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NEC 모토롤라 AMD등도 비메모리제품에 우선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23일자).
전세계적으로 반도체 설비투자 의욕이 급랭하고 있는 가운데 미.일 반도체
업체들이 범용 메모리분야에서 탈피, 부가가치가 높은 첨단분야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일본경제)신문이 22일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미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는 올해 반도체 설비투자액을
전년보다 50% 줄일 예정인데 투자액 대부분을 범용메모리외의 분야에 집중
하고 있다.
TI는 올해 투자액 11억달러중 90%를 디지털신호처리용 칩등에 투자, 시황이
악화되고 있는 D램에 대한 투자를 최대한 억제한다는 것이다.
히타치는 메모리사업 비중을 줄이고 비메모리용 제품인 마이컴에 대한 투자
를 확대하고 있다.
히타치는 올해 4백억엔을 투자, 미 텍사스주에 마이콤 전용공장을 건설,
연내에 가동할 예정이며 오는 98년까지 반도체사업중 메모리제품의 비중을
40%에서 30%로 끌어내릴 계획이다.
후지쓰는 올해 투자를 전년 실적에 비해 1백억엔 줄어든 1천8백억엔으로
잡고 있다.
이 가운데 4백억엔을 플레시메모리 증산에 투입할 계획이다.
인텔의 경우 올해 전년보다 50% 늘어난 45억달러의 설비투자를 책정하고
있는데 초미세 회로기술을 사용한 최첨단 마이크로프로세스등에 투자를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NEC 모토롤라 AMD등도 비메모리제품에 우선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2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