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 채권은행 '종금사' 끌어안기] 종금사 입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종금사들은 은행권의 공동 추가여신 제의에 반대입장이 확고하다.
"은행과 종금사가 대출해주는 자금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추가여신
지원에서 종금사는 빠져야 한다" (동양종금 조왕화 사장)는 설명이다.
종금사는 처음부터 담보 없이 신용 위주로 단기간에 자금을 빌려주고 있지만
은행은 담보를 잡고 중장기 대출을 하는게 관행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종금사가 담보까지 잡아놓고 있는 은행과 같은 입장에서 추가여신을
지원하는 것은 무리라는 주장이다.
특히 "부도방지협약이 오래갈 경우 건실한 금융기관까지 부실채권을 함께
떠안아야해 금융기관의 평균 하향화를 촉진할 것" (신한종금 한근환 사장)
이라는 우려가 지배적이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24일자).
"은행과 종금사가 대출해주는 자금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추가여신
지원에서 종금사는 빠져야 한다" (동양종금 조왕화 사장)는 설명이다.
종금사는 처음부터 담보 없이 신용 위주로 단기간에 자금을 빌려주고 있지만
은행은 담보를 잡고 중장기 대출을 하는게 관행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종금사가 담보까지 잡아놓고 있는 은행과 같은 입장에서 추가여신을
지원하는 것은 무리라는 주장이다.
특히 "부도방지협약이 오래갈 경우 건실한 금융기관까지 부실채권을 함께
떠안아야해 금융기관의 평균 하향화를 촉진할 것" (신한종금 한근환 사장)
이라는 우려가 지배적이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