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임진강의 수질개선을 위해 임진강 유역 폐수 배출의 주범인
2백37개 조건부 무등록 업체중 염색 피혁관련 1백12개 업체를 동두천과
포천지역에 산업단지 및 현지 집단화단지를 조성, 이곳으로 이전시키기로
했다.

또 나머지 1백25개 업체는 업종전환, 적법지역이전, 폐업 등을 유도키로
했다.

정부는 24일 강현욱 환경부장관과 이기호 총리행조실장, 강만수
재경원차관 등 8개부처 차관, 경기도부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환경사범대책위원회 (위원장 환경부장관)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임진강
유역 폐수배출업체 종합대책"을 확정했다.

정부는 이를위해 동두천지역 (43개 업체이전)에는 오는 98년까지
5백79억원을 들여 8만평 규모의 지방산업단지를 조성하고 포천양문 지역
(52개 업체이전)에도 98년까지 2백88억원을 투입, 5만4천평 규모의
지방산업단지를 건설하기로 했다.

또 포천 신평지구 (17개 업체이전)에는 98년까지 1백53억원을 들여
3만2천평 규모의 현지 집단화 단지를 건설키로 했다.

이와함께 산업단지 입주 및 현지 집단화가 어려운 나머지 1백25개
업체중 10개 업체는 건축물개축 등 위법사항을 시정토록하고 10개업체는
적법한 지역으로 이전을 유도하는 한편 5개 업체는 업종 변경을, 33개
업체는 아파트단지 건설 등에 의한 자진폐쇄를 유도키로 했다.

또 나머지 67개 업체는 시군에서 적법지역으로의 이전을 촉구하고
업종을 바꾸도록 행정지도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시.군 등의 이전촉구나 업종전환 유도 등을 이행하는지 여부에
대해 지속적으로 감시활동을 펴 위반시 단전 단수 고발 등 제재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함께 조건부등록공장중 이번 대책으로 공단입주 또는 현지
집단화 대상이 된 업체의 경우 조건부이행기한 (오는 6월30일)이
만료되더라도 공단입주 또는 집단화 완료시까지 잠정적으로 기한을
연장해줄 방침이다.

임진강유역의 폐수배출업체는 모두 6백11개로 이중 3백74개는 정상
등록업체이며 2백37개가 조건부 무등록업체로 이중 염색 피혁업체가
1백86개, 기타 51개에 달하고 있다.

< 김선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