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면톱] 효소이용 의약품 중간체 생산 .. KAIST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나라 토양에서 추출한 고온성 미생물을 대량 배양해 얻은 효소로
항생제 살충제 감미료등의 의약품 중간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공정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물공정연구센터 김학성교수(생물과학과)팀은
지난 5년간 생명공학연구소, (주)동서석유화학과 공동으로 연구한 결과
효소를 이용해 D-파라히드록시페닐글리신, D-페닐글리신, D-발린과 같은
의약품 중간원료 생산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우선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한 내열성 D-히단토이나아제 효소를
생산하는 고온성 미생물을 우리나라 토양에서 선별했다.
이 효소의 유전자를 대장균에 집어넣어 대량번식이 가능케해 세포당 효소의
생산성을 30배 이상 높였다.
그런 다음 고농도 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해 상업적으로 활용할수 있는 큰
규모에서도 리터당 50g 정도의 농도까지 재조합대장균을 배양시켜 효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확립했다.
또 이 효소를 이용해 리터당 3백g의 고농도 기질을 95% 이상의 수율로
의약품 중간원료로 전환시키는 효소반응 공정도 최적화했다.
김교수는 "이번에 축적된 효소공학기술과 경험은 새로운 고부가가치
정밀화학제품이나 의약품원료의 생산기술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광학활성 의약품을 중심으로한 생리활성물질, 각종 D-형 아미노산및
광학활성중간원료 등의 제조기술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공정으로 만들어지는 화합물은 항생제 살충제 감미료 등의 원료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D-파라히드록시페닐글리신은 세파드록실, 세파트리진 등의 세팔로
스포린 계열이나 아목시실린 등의 페니실린 계열의 항생제를 합성하는데
이용되며 이들 항생제의 세계시장 규모는 연간 수십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28일자).
항생제 살충제 감미료등의 의약품 중간원료를 생산할 수 있는 공정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물공정연구센터 김학성교수(생물과학과)팀은
지난 5년간 생명공학연구소, (주)동서석유화학과 공동으로 연구한 결과
효소를 이용해 D-파라히드록시페닐글리신, D-페닐글리신, D-발린과 같은
의약품 중간원료 생산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우선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한 내열성 D-히단토이나아제 효소를
생산하는 고온성 미생물을 우리나라 토양에서 선별했다.
이 효소의 유전자를 대장균에 집어넣어 대량번식이 가능케해 세포당 효소의
생산성을 30배 이상 높였다.
그런 다음 고농도 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해 상업적으로 활용할수 있는 큰
규모에서도 리터당 50g 정도의 농도까지 재조합대장균을 배양시켜 효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확립했다.
또 이 효소를 이용해 리터당 3백g의 고농도 기질을 95% 이상의 수율로
의약품 중간원료로 전환시키는 효소반응 공정도 최적화했다.
김교수는 "이번에 축적된 효소공학기술과 경험은 새로운 고부가가치
정밀화학제품이나 의약품원료의 생산기술개발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광학활성 의약품을 중심으로한 생리활성물질, 각종 D-형 아미노산및
광학활성중간원료 등의 제조기술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 공정으로 만들어지는 화합물은 항생제 살충제 감미료 등의 원료로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D-파라히드록시페닐글리신은 세파드록실, 세파트리진 등의 세팔로
스포린 계열이나 아목시실린 등의 페니실린 계열의 항생제를 합성하는데
이용되며 이들 항생제의 세계시장 규모는 연간 수십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4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