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화제도 도입시 주택자금대출금리상승 불가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주택저당채권 유동화제도가 도입될 경우 주택자금대출금리의 상승이 불
가피한 것으로 지적됐다.
2일 주택은행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유동화제도는 주택자금대출채권을
증권화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므로 경쟁상품인 여타 증권의
수익률이상을 보장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현 회사채유통수익률(연12.5%)에 주택자금대출관리비용과 유동화
관련비용을 각각 0.3%포인트와 0.2%포인트를 더한다면 유동화가 가능한 주
택자금대출금리는 최소 연13.0%에 달해야한다는게 주택은행의 분석이다.
현재 주택자금대출금리는 <>국민주택기금 연7.5-9.5% <>주택은행 9.5-13
.0% <>시중은행및 할부금융사 13.0-15.0%수준으로 유동화가 가능하려면 1.
0-2.0%포인트가량의 금리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택은행은 설명했다.
< 하영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3일자).
가피한 것으로 지적됐다.
2일 주택은행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유동화제도는 주택자금대출채권을
증권화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므로 경쟁상품인 여타 증권의
수익률이상을 보장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현 회사채유통수익률(연12.5%)에 주택자금대출관리비용과 유동화
관련비용을 각각 0.3%포인트와 0.2%포인트를 더한다면 유동화가 가능한 주
택자금대출금리는 최소 연13.0%에 달해야한다는게 주택은행의 분석이다.
현재 주택자금대출금리는 <>국민주택기금 연7.5-9.5% <>주택은행 9.5-13
.0% <>시중은행및 할부금융사 13.0-15.0%수준으로 유동화가 가능하려면 1.
0-2.0%포인트가량의 금리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택은행은 설명했다.
< 하영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