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풍수] '묘지' .. 장묘문화도 시대에 따라 변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적법상 토지는 사용목적 또는 용도에 따라서 전 답 대지 과수원
목장용지 임야 등 24가지로 구분된다.
죽은 자의 터인 묘지도 지적법에 정해진 24지목중의 하나다.
풍수에서 묘지를 잘쓰면 후대가 복을 받는다고 해서 우리는 예로부터
묘터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져왔다.
풍수에서 설명하는 명당의 간단하다.
땅의 좋은 기운이 뭉치는 곳을 혈이라고 하여 이곳에 묘를 쓰면 좋은
기운이 반대로 흉지에서는 나쁜 기운이 자손에게 전해진다는 동기감응설을
근거로 한다.
물론 묘터중에 좋고 나쁜곳이 있지만 명당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장묘문화도 시대에 따라서 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웃 일본의 경우 화장이 보편화되어 있지만 이로인해 자손들이 잘못
되었다고 해석하기 어렵다.
오히려 세계 제일의 경제대국으로 승승장구하고 있다.
우리와 같이 국토에서 매장하는것이 최선인가에 대해 다시 생각해야할
때인 것이다.
풍수는 인간이 살아가는 방편으로 주거생활의 편리를 위한 생활환경적
경험을 계승발전시킨 양택론에서 시작되었다.
풍수에서 음택론의 명당이 부각되었던 것은 조선조시대에 와서 불교를
억제하고 유교를 숭상하는 억불숭유 정책으로 토장을 장려한데서 비롯됐다.
이로인하여 풍수가 음택론으로만 왜곡해석되면서 명당에 조상을 모시면
그 자손이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극히 이기주의적인 사상으로 잘못 발전됐던
것이다.
이러한 연유로 졸부들이나 일부 사회지도층이 부귀와 권세를 자식들에게
물려주려는 망상으로 전국 곳곳의 명당을 찾아다니는 해프닝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풍수상 묘터를 중시하는 음택론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좁은
국토에서 명당이라는 곳이 과연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
불교에서는 속세의 인연을 끊는다고 출가하여 생을 다하면 화장을 한다.
아예 명당이나 흉지를 찾는것보다 화장을 통해 자손들과의 인연을 완전히
끊으려 한다.
통계에서보면 우리나라 국민1인당 주택면적은 4.3평인 반면 분묘의
평균 면적은 15평이라고 한다.
주택면적은 아파트나 연립 등 고층으로 건설한 공중면적까지 포함한
것으로 실질적인 토지면적으로 보면 더욱 작을 것이다.
전국에 산재한 묘지를 추산하면 대략 2천여만기에 달하며 전국토의
1%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면적은 현재 주택이 지어졌거나 지을수 있는 택지면적의 절반에
해당된다.
또한 매년 새로 생기는 20만기 정도의 분묘는 여의도 면적의 1.2배
크기이다.
좁은 국토에서 주거공간부족으로 허덕이는 상황에서 죽은자를 우선하는
잘못된 풍수해석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장묘문화를 정착시켜야할 것이다.
정광영 < 한국부동산컨설팅 대표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10일자).
목장용지 임야 등 24가지로 구분된다.
죽은 자의 터인 묘지도 지적법에 정해진 24지목중의 하나다.
풍수에서 묘지를 잘쓰면 후대가 복을 받는다고 해서 우리는 예로부터
묘터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져왔다.
풍수에서 설명하는 명당의 간단하다.
땅의 좋은 기운이 뭉치는 곳을 혈이라고 하여 이곳에 묘를 쓰면 좋은
기운이 반대로 흉지에서는 나쁜 기운이 자손에게 전해진다는 동기감응설을
근거로 한다.
물론 묘터중에 좋고 나쁜곳이 있지만 명당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장묘문화도 시대에 따라서 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웃 일본의 경우 화장이 보편화되어 있지만 이로인해 자손들이 잘못
되었다고 해석하기 어렵다.
오히려 세계 제일의 경제대국으로 승승장구하고 있다.
우리와 같이 국토에서 매장하는것이 최선인가에 대해 다시 생각해야할
때인 것이다.
풍수는 인간이 살아가는 방편으로 주거생활의 편리를 위한 생활환경적
경험을 계승발전시킨 양택론에서 시작되었다.
풍수에서 음택론의 명당이 부각되었던 것은 조선조시대에 와서 불교를
억제하고 유교를 숭상하는 억불숭유 정책으로 토장을 장려한데서 비롯됐다.
이로인하여 풍수가 음택론으로만 왜곡해석되면서 명당에 조상을 모시면
그 자손이 부귀영화를 누린다는 극히 이기주의적인 사상으로 잘못 발전됐던
것이다.
이러한 연유로 졸부들이나 일부 사회지도층이 부귀와 권세를 자식들에게
물려주려는 망상으로 전국 곳곳의 명당을 찾아다니는 해프닝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풍수상 묘터를 중시하는 음택론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좁은
국토에서 명당이라는 곳이 과연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
불교에서는 속세의 인연을 끊는다고 출가하여 생을 다하면 화장을 한다.
아예 명당이나 흉지를 찾는것보다 화장을 통해 자손들과의 인연을 완전히
끊으려 한다.
통계에서보면 우리나라 국민1인당 주택면적은 4.3평인 반면 분묘의
평균 면적은 15평이라고 한다.
주택면적은 아파트나 연립 등 고층으로 건설한 공중면적까지 포함한
것으로 실질적인 토지면적으로 보면 더욱 작을 것이다.
전국에 산재한 묘지를 추산하면 대략 2천여만기에 달하며 전국토의
1%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면적은 현재 주택이 지어졌거나 지을수 있는 택지면적의 절반에
해당된다.
또한 매년 새로 생기는 20만기 정도의 분묘는 여의도 면적의 1.2배
크기이다.
좁은 국토에서 주거공간부족으로 허덕이는 상황에서 죽은자를 우선하는
잘못된 풍수해석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장묘문화를 정착시켜야할 것이다.
정광영 < 한국부동산컨설팅 대표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