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역조건 악화따른 GDP 손실액 지난해 12조5천억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엔저및 수출단가 하락등 교역조건 악화에 따라 초래된 GDP(국내총생
산)손실액이 무려 12조5천억원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됐다.
또 무역수지 적자 확대로 국내 산업이 위축되면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은 29
만명으로 추산됐다.
14일 대우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단가 급락등 교역조건이 크게 나
빠지면서 제조업 생산이 둔화돼 실제GDP의 4.5%에 달하는 12조5천억원의 GDP
감소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는 실제GDP와 수입단가로 추계한 GDP의 차이로 수입단가가 수출단가보다
크게 늘어나 교역조건이 악화되면 우리나라가 해외에서 구입할 수 있는 재화
와 용역의 양이 실제 GDP수준보다 낮아진다는 근거에 따른 것이다.
교역조건 악화에 따른 GDP손실액은 95년에도 2조9천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
산됐다.
반면 93년에는 교역조건이 우리나라에 유리하게 작용하면서 우리나라의 해
외 상품 구입여력이 실질GDP보다 2조6천억원 높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소는 지난해 1백53억달러에 달한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한 것은 그만큼
수출보다 수입이 늘어 제조업의 고용감소를 가져왔다고 지적했다.
< 박영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15일자).
산)손실액이 무려 12조5천억원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됐다.
또 무역수지 적자 확대로 국내 산업이 위축되면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은 29
만명으로 추산됐다.
14일 대우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단가 급락등 교역조건이 크게 나
빠지면서 제조업 생산이 둔화돼 실제GDP의 4.5%에 달하는 12조5천억원의 GDP
감소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이는 실제GDP와 수입단가로 추계한 GDP의 차이로 수입단가가 수출단가보다
크게 늘어나 교역조건이 악화되면 우리나라가 해외에서 구입할 수 있는 재화
와 용역의 양이 실제 GDP수준보다 낮아진다는 근거에 따른 것이다.
교역조건 악화에 따른 GDP손실액은 95년에도 2조9천억원에 달한 것으로 추
산됐다.
반면 93년에는 교역조건이 우리나라에 유리하게 작용하면서 우리나라의 해
외 상품 구입여력이 실질GDP보다 2조6천억원 높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소는 지난해 1백53억달러에 달한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한 것은 그만큼
수출보다 수입이 늘어 제조업의 고용감소를 가져왔다고 지적했다.
< 박영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