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식 부총리겸 재정경제원장관은 15일 기자간담회에서 "경제를 어떻게
살리느냐에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돼 있다"며 금융감독체계 개편 등에 대해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금융개혁은 당초 방향대로 실시되나.

"문제가 없다.

다만 임시국회가 6월초로 당겨져서 임시국회에 법안제출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임시국회에 제출할수 없으면 9월정기국회에 제출하도록 하겠다.

당초 정기국회는 분위기자체가 대선에 눌리고 기간도 짧아서 미리 올리는게
좋겠다는 판단이었다" (추후 정의동 대변인을 통해 임시국회에 제출하겠다고
수정)

-여당에서 금융개혁법안처리 연기를 요청했던 것은 인기없는 정책을
추진할 마음이 없는 것 아닌가.

"집권여당인데 정부와 의견이 다르겠나.

인기없는 정책이라는데 동의하지 않는다.

표를 기준으로 하는 것도 온당치 않다고 생각한다.

경제사정이 그렇게 한가하지 않다"

-당정협의에서 자금세탁법얘기가 없었나.

"얘기는 없었다.

그러나 정부는 금융실명법안과 동시에 제출할 것이다"

-금융실명법안만 국회에 통과되고 자금세탁법은 통과되지 않는다면.

"내가 뭐라고 얘기할 입장이 아니다"

-오늘 박성용 금개위원장과 만나 논의한 내용은.

"말하기 어렵다.

요청할 사항이 있다고 해서 만났다"

-금융감독개편은 어떻게 할 생각인가.

"금개위안이 나오면 판단을 할것이다"

-금개위안이 현실적이지 않다면.

"금개위는 위원회성격이 있으므로 한자도 빼지 않고 시행하라는 것은 아닐
것이다"

-95년의 경우처럼 한은법처리과정에서 모양새가 좋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는데.

"금융산업이 이대로 갈수는 없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합리적인 안을 만들어서 추진하는 것은 당연하다"

-금융감독체계개편에 대한 의견수렴과정이 필요하지 않나.

"금개위안 자체가 의견을 수렴한 것으로 볼수 있다"

-대수술보다 응급처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는데.

"지금 응급처치를 쭉 해왔기 때문에 4월대란설같은 위기도 넘겼다.

80일동안 응급조치나 구조적정책이나 구분하지 않고 나름대로 했다고
생각한다"

-금융감독체계개편에 관한 3가지 방안이 거론되고 있는데 어떤 것을 택할
것인가.

"복안은 있지만 말할수 없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