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있다.
운동이나 땀나는 일을 안해도 땀이 많이 나는 것은 분명히 병이다.
땀을 많이 나게 하는 질병에는 갑상선기능항진증 당뇨병 폐경여성갱년기
증후군등 호르몬분비이상, 자율신경실조증 늑막염 결핵 림프종 저혈당
위기능항진증 낭습 극도의 스트레스 등이 있다.
각기 땀나는 주된 부위가 다르다.
당뇨병 갑상선기능항진증 갱년기증후군 등에는 전신에 걸쳐 땀이 흐른다.
머리부분에만 땀이 많이 나면 늑막염등 흉부질환, 잠잘때 자기도 모르게
식은땀을 흘리면 결핵이 의심된다.
식후나 과음한 다음날 아침식사때 땀을 줄줄 흘리는 것은 위기능항진으로
나타난 위열 때문이다.
성기나 사타구니의 부위에 땀이 많이 나면 낭습등 비뇨기계질환이
의심된다.
이런 다양한 원인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땀이 많이 나는 증상을 완화하는
근본이다.
그러나 이렇다할 질병없이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는 자율신경계
교감신경의 과잉흥분에 의한 것으로 "원발성 다한증(원발성 다한증)"이라고
한다.
교감신경이 흥분하면 뇌속의 뇌하수체전엽에서 부신수질호르몬의
일종인 아드레날린을 분비해 땀샘에서 땀을 내도록 유도한다.
정상적인 발한량은 1일 8백50~9백ml.
교감신경계 이상으로 하루 1l 이상 땀을 흘리면 다한증으로 치료가
필요하다.
이런 경우 땀샘이 집중된 손바닥 발바닥 겨드랑이 얼굴 등에 땀이
많이 난다.
젊은 성인의 0.6~1.0%에서 발생하고 환자의 25%는 가족력을 띤다.
다한증에는 내시경을 흉추에 도달시켜 교감신경을 잘라주는 수술로
교감신경흥분을 억제, 땀이 덜나게 하는 치료법이 있다.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내시경을 집어넣을 지름10mm 짜리 구멍 1개, 가위
집게 등 수술도구를 넣을 지름 5mm 짜리 구멍2개를 뚫는다.
평균수술시간은 50여분이 걸리며 3일정도면 회복해 퇴원할수 있다.
최근 연세대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에서는 주사침흉강경을 도입,
지름 2mm 짜리 구멍3개를 뚫어 흉터도 덜남기고 통증도 훨씬 덜한 수술을
실시, 당일에 퇴원시키고 있다.
수술시야가 좁아서 다한증 수술경험이 풍부한 의사가 아니면 시술하기가
어렵다.
흉추에서 뻗어난 교감신경만을 절단할 경우 손 겨드랑이 얼굴의 다한증은
치료되지만 발의 다한증은 오랜 시일이 지나면 다시 예전처럼 된다.
흉추는 손 얼굴 겨드랑이에 이르는 신경만 지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의 다한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발의 신경을 지배하는 요추에서
뻗어나온 교감신경절을 끊어줄 필요가 있다.
고려대 안암병원 김광택(흉부외과)교수는 지난 1년여동안 1백37명의
다한증환자에게 흉추교감신경차단술을 시행한 결과 환자의 97%가 수술결과에
만족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환자의 25%는 여전히 발에 땀이 많이 나서 이들중 일부에게
요추교감신경차단술을 실시, 만족한 치료결과가 나왔다.
이수술은 옆구리에 일정간격으로 직경 5~10mm짜리 구멍3개를 뚫어 복막을
제끼고 내시경을 넣어 요추에서 갈라져 나온 교감신경을 잘라주는 것으로
수술후 3일정도면 퇴원할수 있다.
수술외에 약물치료와 전기영동방법이 있다.
교감신경절의 신경전도물질인 아세틸콜린을 억제하기 위해 스코폴라민같은
항콜린제를 쓰는데 안압상승 경련 현기증 구강갈증 등의 부작용이 있다.
수산화염화알루미늄 등을 바르면 알루미늄양이온이 땀구멍을 수축시키고
땀샘내의 세균을 일부 박멸하는 효과가 있으나 효과가 일시적이다.
포름알데히드나 글루타알데히드 희석액을 바르기도 하는데 효과가
일시적이며 피부알레르기를 일으킬수 있다.
전기영동법은 직류전기의 양전하로 땀샘을 막는 것으로 상당한 효과가
있다.
그러나 겨드랑이나 얼굴은 직류전기가 흐르는 물에 담그기가 곤란하고
효과도 며칠이상 지속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 정종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