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징=김영근특파원 ]

한국과 중국 민간단체간의 우호증진과 교류협력을 위한다는 목적으로
설립된 각종 친선단체들이 난립하고 있다.

16일 주중한국대사관과 관련단체들에 따르면 지난 92년 수교이전에 설립된
단체를 포함해 현재까지 외무부 통일원 문화부 등에 설립신고된 한중우호
협력조직이 22개에 달하고 있다.

이들중 일부 단체 또는 협회 등은 명칭이 유사하고 활동이 미미해 본래의
설립취지와는 달리 부작용을 빚고 있다는 것이다.

또 최근 몇년간 활동이 거의 없다가 갑작기 단체 또는 협회 명의로 중국
관련단체에 문서를 발송하거나 인적교류를 요청해 중국측이 주중 한국
대사관에 확인하는 등 소동을 빚기까지 하고 있다.

한중문화협회와 한중우호협회 한중친선협회 등 3개 단체는 명칭이
유사하다.

이들 3개 단체가 외무부에 등록할 당시의 설립목적도 (한중민간교류)와
(비정치분야 교류증진) (사회 문화 경제적 교류를 통한 양국간 친선 우호
증진)으로 단체성격을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또 (민간) 또는 (문화) (우호) (친선)자가 들어간 단체는 한중문화협력
연구원 한중우호교류기금회 한국중국친선협회 중소한민족친선협회 한중문화
교류회 한국화교거선당문화회 동양문화연구소 한중민간우호협력교류협의회
한중민간친선협회 등이다.

이밖에 중국연변조선족기술대학후원회 중소이산가족회 중소한민족친선협회
한국현대중국연구회 한중예술연합회 한중서화부흥협회 중구건축학회 등도
1~3년에 한두번씩 인적 교류를 갖거나 자료를 교환하고 있을 뿐이다.

주중한국대사관 관계자는 (한중간 교류협력증진을 위한 각종 민간단체의
설립을 반대할 이유는 없다)고 전제하고 (그러나 일부단체는 설립된 뒤
활동이 거의 없거나 바뀐 전화번호마저 중국측 파트너에 통보하지 않아
한국측 우호협력단체의 이미지를 손상시키는 경우마저 있다)고 말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