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한국산 더 좋아한다' .. 동경 주부 100명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인들도 일본식으로 담근 김치보다는 순수 한국산 김치를 선호하며
신김치를 활용한 김치찌개등 김치요리도 많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수산물유통공사가 지난 3월말 일본 도쿄(동경)의 가정주부 1백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 소비자의 김치기호조사에 따르면 김치는 한국산
수입제품을 먹는다는 응답이 55%를 넘어섰다.
또 좋아하는 김치형태는 한국식으로 담근 김치이고 슈퍼마켓에서 주로
구입하며 가정에서 김치를 먹는 빈도는 월 2~3회 이상이 58%로 절반을 넘어
한국김치의 맛이 정착단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김치를 이용한 요리도 많이 알려져 김치찌개는 주부의 83%가 알고있고
김치라면(65%) 김치볶음밥(47%) 김치전(32%)도 알려져있었다.
일본인들은 김치를 반찬(28%)이라기 보다는 건강(47%)기호(32%)식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도 특징적이다.
또 한국산수입김치의 가격은 다소 비싸다는 의견이 대다수로 한국산양념
(고춧가루와 마늘)을 수입해 이때문에 우리식 김치를 현지에서 제조 판매
하는 것으로 나타나 양념류의 수출전망도 밝다.
한편 우리나라 김치의 대일수출은 지난 95년 4천3백30만달러에 달했으나
지난해 배추값 폭등으로 원료구입이 부진,3천6백66만달러로 오히려 줄었다.
유통공사는 김치의 대일수출을 늘리기위해서는 일본인 입맛을 고려한
우리식 김치제품개발과 일본인의 기호에 맞는 포장디자인의 고급화등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있어야한다고 밝혔다.
< 김정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19일자).
신김치를 활용한 김치찌개등 김치요리도 많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수산물유통공사가 지난 3월말 일본 도쿄(동경)의 가정주부 1백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 소비자의 김치기호조사에 따르면 김치는 한국산
수입제품을 먹는다는 응답이 55%를 넘어섰다.
또 좋아하는 김치형태는 한국식으로 담근 김치이고 슈퍼마켓에서 주로
구입하며 가정에서 김치를 먹는 빈도는 월 2~3회 이상이 58%로 절반을 넘어
한국김치의 맛이 정착단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김치를 이용한 요리도 많이 알려져 김치찌개는 주부의 83%가 알고있고
김치라면(65%) 김치볶음밥(47%) 김치전(32%)도 알려져있었다.
일본인들은 김치를 반찬(28%)이라기 보다는 건강(47%)기호(32%)식품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도 특징적이다.
또 한국산수입김치의 가격은 다소 비싸다는 의견이 대다수로 한국산양념
(고춧가루와 마늘)을 수입해 이때문에 우리식 김치를 현지에서 제조 판매
하는 것으로 나타나 양념류의 수출전망도 밝다.
한편 우리나라 김치의 대일수출은 지난 95년 4천3백30만달러에 달했으나
지난해 배추값 폭등으로 원료구입이 부진,3천6백66만달러로 오히려 줄었다.
유통공사는 김치의 대일수출을 늘리기위해서는 일본인 입맛을 고려한
우리식 김치제품개발과 일본인의 기호에 맞는 포장디자인의 고급화등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있어야한다고 밝혔다.
< 김정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