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통령 담화] 국민회의, 몰염치한 진실은폐 .. 여야 반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영삼 대통령이 30일 발표한 대국민담화에 대해 여야가 완전히 엇갈린
평가를 내려 정국의 앞날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신한국당이 "용기있는 호소"라고 추켜세운 반면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중대결심"이라는 용어로 국민과 야당을 협박하며 선전포고를 했다"며
김대통령에 대한 청문회도 불사하겠다고 반발했다.
<>.신한국당은 이날 담화를 계기로 과거의 잘못된 정치풍토를 개선하고
돈안드는 선거풍토를 정착시키는 노력을 할 것을 다짐하는 한편 미래지향적
차원에서 소모적 정쟁을 중단할 것을 야당측에 촉구했다.
특히 야권이 정치공세를 계속할 경우 "막대한 대선자금 지출"이라는 원죄적
측면에서는 여야가 다를 바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야당의 공세를 차단한다
는 방침을 정했다.
이윤성 대변인은 담화직후 "막대한 자금이 소요됐던 92년 대선 당시의 전반
상황을 솔직하게 설명하고 책임질 일이 있으면 회피하지 않겠다는 대통령의
정직하고 용기있는 대국민 호소"라고 논평했다.
이대변인은 "그러면서 구태의 잘못된 정치관행을 바로잡기 위해 여야가
정치개혁을 함께 할 것을 촉구하고 대통령으로서 살신의 정신으로 이 난국을
타개하겠다는 결연한 의지의 표명을 높이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이회창 대표는 "이제 과거 일에 매달리기보다 앞을 내다보고 경제회복
민생안정에 주력하는 집권당의 모습을 보이고 정국을 주도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관용 사무총장은 "미래를 향한 새 출발을 하겠다는 대통령의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이제 더이상 소모적인 대선자금 논쟁을 벗어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경식 정무1장관은 "중대결심" 언급과 관련, "돈 적게 쓰는 정치풍토 구현
등 정치개혁을 임기말까지 끝까지 추진하겠다는 대통령의 비장한 결의를
표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김대통령이 이날 담화에서 국민과 야당에 대한
협박을 서슴지 않았다며 강력한 투쟁을 다짐하고 나섰다.
특히 국민회의는 "김대통령의 국정수행이 더 이상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하야투쟁쪽으로 급선회했다.
그러나 양당 지도부는 "원칙을 지키되 행동은 유연하게 하자"며 하야 요구와
투쟁방법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견지했다.
양당은 김대통령의 담화에 대해 "국민에 대한 배반" "5공 당시 4.13호헌
조치의 모작" "후안무치한 변명" "몰염치한 진실은폐 담화" 등 최상급의
어휘를 구사하며 규탄했다.
국민회의 지도위회의에선 "8월까지 극명한 투쟁을 벌여 8월말이나 9월초까지
김대통령을 하야시키고 총리를 대행으로 한 선거관리 내각을 구성해야 한다"
(채영석 의원)와 같은 하야투쟁 주장이 속출했다.
6월 임시국회 소집문제로 여당측과 협상을 벌여온 국민회의 박상천 총무는
"여권에 그렇게 사람이 없는지 모르겠다"고 개탄했다.
김대중 총재도 이날 외신기자클럽 회견에서 "김대통령과의 직접 대결을
피할수 없다는게 당의 일치된 견해"라며 "국민의 뜻을 받들어 한보와 대선
자금 진상을 꼭 밝히겠다"고 말했다.
자민련도 국민회의와 크게 다르지 않은 분위기속에 강력대응을 다짐했다.
김종필 총재는 "적당히 넘어갈 일이 아니다"며 "내일 간부회의에서 논의,
강력하게 대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총재는 "김대통령이 지금 물러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김대통령이 하야한다고 해서 헌정중단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정권퇴진운동"도 할수 있음을 시사했다.
박철언 부총재는 "김대통령은 마지막 기회를 잃었다"며 "김대통령이 지금
이라도 대선자금 규모와 김현철씨의 국정농단, 한보 배후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총재를 지지하는 당내 소장파 모임인 "젊은 개척자그룹"은 이날
당 지도부에 "당 차원에서 김영삼정권 퇴진투쟁을 강력히 전개할 것"을
건의했다.
< 김삼규.허귀식.김태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31일자).
평가를 내려 정국의 앞날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다.
신한국당이 "용기있는 호소"라고 추켜세운 반면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중대결심"이라는 용어로 국민과 야당을 협박하며 선전포고를 했다"며
김대통령에 대한 청문회도 불사하겠다고 반발했다.
<>.신한국당은 이날 담화를 계기로 과거의 잘못된 정치풍토를 개선하고
돈안드는 선거풍토를 정착시키는 노력을 할 것을 다짐하는 한편 미래지향적
차원에서 소모적 정쟁을 중단할 것을 야당측에 촉구했다.
특히 야권이 정치공세를 계속할 경우 "막대한 대선자금 지출"이라는 원죄적
측면에서는 여야가 다를 바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야당의 공세를 차단한다
는 방침을 정했다.
이윤성 대변인은 담화직후 "막대한 자금이 소요됐던 92년 대선 당시의 전반
상황을 솔직하게 설명하고 책임질 일이 있으면 회피하지 않겠다는 대통령의
정직하고 용기있는 대국민 호소"라고 논평했다.
이대변인은 "그러면서 구태의 잘못된 정치관행을 바로잡기 위해 여야가
정치개혁을 함께 할 것을 촉구하고 대통령으로서 살신의 정신으로 이 난국을
타개하겠다는 결연한 의지의 표명을 높이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이회창 대표는 "이제 과거 일에 매달리기보다 앞을 내다보고 경제회복
민생안정에 주력하는 집권당의 모습을 보이고 정국을 주도해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관용 사무총장은 "미래를 향한 새 출발을 하겠다는 대통령의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이제 더이상 소모적인 대선자금 논쟁을 벗어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경식 정무1장관은 "중대결심" 언급과 관련, "돈 적게 쓰는 정치풍토 구현
등 정치개혁을 임기말까지 끝까지 추진하겠다는 대통령의 비장한 결의를
표현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김대통령이 이날 담화에서 국민과 야당에 대한
협박을 서슴지 않았다며 강력한 투쟁을 다짐하고 나섰다.
특히 국민회의는 "김대통령의 국정수행이 더 이상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하야투쟁쪽으로 급선회했다.
그러나 양당 지도부는 "원칙을 지키되 행동은 유연하게 하자"며 하야 요구와
투쟁방법에 대해서는 신중한 태도를 견지했다.
양당은 김대통령의 담화에 대해 "국민에 대한 배반" "5공 당시 4.13호헌
조치의 모작" "후안무치한 변명" "몰염치한 진실은폐 담화" 등 최상급의
어휘를 구사하며 규탄했다.
국민회의 지도위회의에선 "8월까지 극명한 투쟁을 벌여 8월말이나 9월초까지
김대통령을 하야시키고 총리를 대행으로 한 선거관리 내각을 구성해야 한다"
(채영석 의원)와 같은 하야투쟁 주장이 속출했다.
6월 임시국회 소집문제로 여당측과 협상을 벌여온 국민회의 박상천 총무는
"여권에 그렇게 사람이 없는지 모르겠다"고 개탄했다.
김대중 총재도 이날 외신기자클럽 회견에서 "김대통령과의 직접 대결을
피할수 없다는게 당의 일치된 견해"라며 "국민의 뜻을 받들어 한보와 대선
자금 진상을 꼭 밝히겠다"고 말했다.
자민련도 국민회의와 크게 다르지 않은 분위기속에 강력대응을 다짐했다.
김종필 총재는 "적당히 넘어갈 일이 아니다"며 "내일 간부회의에서 논의,
강력하게 대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총재는 "김대통령이 지금 물러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김대통령이 하야한다고 해서 헌정중단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정권퇴진운동"도 할수 있음을 시사했다.
박철언 부총재는 "김대통령은 마지막 기회를 잃었다"며 "김대통령이 지금
이라도 대선자금 규모와 김현철씨의 국정농단, 한보 배후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총재를 지지하는 당내 소장파 모임인 "젊은 개척자그룹"은 이날
당 지도부에 "당 차원에서 김영삼정권 퇴진투쟁을 강력히 전개할 것"을
건의했다.
< 김삼규.허귀식.김태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5월 3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