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자치단체장들이 잇따라 TV광고에 직접 출연해 눈길을 끌고있다.

이들은 광고를 통해 해당 지자체의 돋보이는 활동을 알리는 한편
기업투자와 관광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최기선 인천시장은 지난달 1일부터 인천시 홍보광고에 출연해 KBS MBC 등
주요 방송의 전파를 타고 전국 시청자들의 안방을 노크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과 송도신도시 등 국제도시 인천을 홍보하고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는데 힘을 쏟고 있는 것.

인천시는 제작비로 1억4천9백만원, TV 광고비로는 3억8천만원을 투입해
이달말까지 모두 88회에 걸쳐 방송을 할 계획이다.

서울시도 7~8월 두달간 대중교통을 이용하자는 캠페인과 서울시 이미지
홍보물 등 두가지 광고를 TV에 내보내기로 했다.

특히 이 광고에는 조순 서울시장이 직접 출연할 것으로 알려졌다.

편당 7천만원의 제작비를 포함해 모두 10억원의 예산으로 추진되는
이 광고는 무려 2백회 이상 나가게 된다.

이의근 경북지사의 경우 지난 4월부터 두달간 관광객 유치를 내용으로
한 광고에 직접 나섰고 문희갑 대구시장도 이달부터 지역경제살리기
광고에 출연, 홍보활동을 벌일 예정이다.

김혁규 경남지사 역시 오는 7월 전국 4개 방송사 TV광고에 출연한다.

경남도는 이와함께 피서객 유치용으로 같은 광고를 아시아나 항공의
기내에서도 상영할 예정이다.

광역자치단체장의 이같은 광고활동과 관련, 지자체장이 지역홍보에
직접 나서는 것은 당연하다는 시각이 있는 반면 내년 선거를 의식한
홍보전략이 아니냐는 곱지않은 시선도 있다.

주부 박선정 (36.서울 송파구 잠실동)씨는 "지자체장이 TV에 나와 정책
홍보에 나서는 모습을 보며 친근감을 갖게됐다"면서 "설득력도 있는 것
같다"고 호의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회사원 윤창식 (31.인천시 남구 도화동)씨는 "자치단체의
활동내용을 소개하는 것은 좋지만 단체장이 직접 나서는 것은 시민의
세금을 "얼굴 알리기"에 쓰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말했다.

특히 연말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가을 이후 방송에 출연하면 선거법
저촉여부를 두고 논란이 일 것을 예상, 미리 유권자들의 눈도장을 받아
놓자는 의도가 아니냐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와관련해 "서울시 홍보광고는 사전 계획의 집행일
뿐이며 이미지 개선을 통해 자연스럽게 시민협조를 유도하자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순수한 광역자치단체의 정책홍보는 선거와
무관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필수불가결한 것"이라고 전제하고 "그러나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도 있어 대선 두달전인 10월18일부터는 홍보활동을
자제하도록 관련 지침을 조만간 내려보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 김주영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