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은 89년 6.4 천안문사태가 발생한지 8주년이 되는 날이다.

예전보다 한층 이번 천안문사태 기념일에 전세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은 당시 유혈진압의 최종 책임자 덩사오핑(등소평)이 사망(2월19일)
한후 처음 맞는 날이기 때문.

그동안 탄압을 받아 오던 민주화시위 주동자그룹과 피해자측 움직임과
국외의 여론도 어느때보다 심상찮다.

이런 분위기를 감지한 중국당국은 당시 대규모 군중시위가 부패와 범죄
물가폭등 등 광범위한 사회 경제적 불만에서 비롯됐다고 판단, 경제분야
등을 중심으로 빠른 개혁의 발걸음을 내딛고 있다.

중국당국이 최근 물가안정 실업해소 빈부격차해소 등 경제문제와 부패
범죄와의 전쟁등을 대대적으로 벌이고 있는 것도 천안문사태와 무관치 않다.

장쩌민(강택민) 국가주석을 비롯한 중국 고위층은 "경제발전을 바탕으로
사회와 경제의 안정을 이룰 때 국민들의 불만이 해소된다. 이는 천안문
사태에서 배운 교훈이다"라고 말한고 있다.

중국공산당은 오는 10월 개최될 공산당 제15차 당대회에서 경제개혁의
일환으로 농촌촌민위원 선출에 직접 선거방식을 도입하고 도시주민위원회
에까지 선거제를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중국인들의 각 분야민주화 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이다.

그러나 여전히 중국당국을 위협하는 "시한폭탄"은 도처에 널려 있다.

우선 오는 7월1일 반환되는 홍콩의 민주화 바람이 대륙으로 스며들 가능성
이다.

홍콩입법국은 지난달 21일 "천안문 사태를 재평가하고 중국내 민주화 운동
에 대한 반대입장을 취소하라"며 중국에 대해 공격을 가했다.

중국인들이 맞본 시장경제의 매력은 언제든지 강압과 폭력 규제에 저항할수
있는 힘으로 분출할 개연성이 있다.

"돈을 벌어야 한다"는 황금만능주의가 사회전반에 퍼지고 대학을 졸업한
젊은 세대들은 공산당 당원이 되기 보다는 고액의 수입이 보장되는 외국
기업과 민간기업으로 가고 있다.

빈부격차가 커지는 것 역시 사회불만을 누적시키는 요인이다.

지난해 6월말 현재 12억 중국인구중 상위 20%가 가진 금융자산은 전체의
48%(1인당 평균 한화 7백43만5천7백원 상당)에 달한다.

반면 하위 20%가 가진 금융자산은 전체의 4%(1인당 평균 한화 61만9천6백원
상당)에 그치고 있다.

금융자산만으로 따져 상위 20%는 하위 20보다 개인당 1천1백%가 많은
돈을 갖고 있는 셈이다.

이밖에 국유기업 부실화로 인한 실제 실업율이 15~20%(공식 2.9%)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미국과 영국등 서방국가로부터 가해지는 인권개선
압력도 중국고위층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천안문사태 8주년을 맞은 중국당국은 여전히 인권과 민주주의라는 도전에
봉착해 있다.

천안문사태를 어떻게 평가하고 극복하느냐가 향후 중국의 정치 경제발전과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위상과 직결된다는게 서방국가들의 공통된 인식이다.

< 중국=김영근 특파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