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는 기업 튀는 제품] 송원금속, '할로 팔찌시계' 개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송원금속(대표 송갑수)이 6월중 순수 국내 브랜드인 "리까르도" "디아망떼"
상표로 시판할 할로팔찌시계는 일반소비자들의 가격부담을 크게 줄여
대중화한 금시계다.
지금까지 금시계하면 롤렉스나 오메가등 외국브랜드에다 순전히 금으로
만들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 일반서민들은 감히 살 엄두를 내기 힘들었다.
부유층에서나 외국에서 수입해 차고 다니던 금시계의 가격을 내릴수 있게
된 것은 이 회사 송사장이 할로공법을 이용해 금을 가공하는 기술을 개발
했기 때문.
송사장은 90년 미국에서 공부를 마치고 금 장신구전문업체인 맥켄나사에서
3년간 일하며 이 공법을 배워 귀국했다.
95년 창업한 송사장은 2년간 6억원의 개발비를 투자해 할로공법개발에
성공했다.
금 장신구제조기법에는 탈랍주조법 체인법 전기성형법 금형주형법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할로공법은 주조압형법을 이용해 만든다.
즉 판금을 원하는 모양의 금속금형에 넣고 압력을 가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장신구 아이템들을 찍어내는 방식이다.
송원금속의 금시계는 이 방식을 이용해 얇게 가공한 금을 두조각씩 서로
맞붙이는 형태로 제작하기 때문에 겉모습과는 달리 속이 비어 있는 금줄을
만들어 낸다.
이탈리아에서 발달한 이 첨단 금가공방식을 사용하면 기존 금시계보다
금이 3분의 1 정도 덜 든다.
금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적게들어 가격도 싸고 무게도 그만큼
가볍다.
론진 오메가 등 시판가가 3백만원선인 수입시계와 같은 모델의 할로팔찌시계
를 1백50만원선에 판매할수 있다는게 송사장의 설명이다.
또 금형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가공때 금 손실을 줄일수
있으며 정교한 제품을 만들수 있다고 한다.
송사장은 공장에 이미 4억원을 들여 지난달 중순 월 3백~5백개를 생산할수
있는 체제를 갖췄다.
송사장은 여기서 생산된 금시계의 3분의 1 정도만 국내에 판매하고 나머지는
외국에 수출할 방침이다.
내수는 결혼예물용은 물론 고급시계를 찾는 30~40대를 겨냥해 전국 유명
보석상과 백화점을 통해 1백만~2백만원선에 판매할 계획.
또 가격면에서 국제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외국시장 수출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이들 시계에는 18K 금과 다이아몬드 사파이어유리 기계부분인 이타무브먼트
18K 용두 등 세계유명 시계회사들이 고집하는 부품들이 부착된다.
송원은 이미 맥켄나사는 물론 시계본고장인 유럽 일본 등의 수입상들과
수출교섭을 벌이고 있다.
<이창호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4일자).
상표로 시판할 할로팔찌시계는 일반소비자들의 가격부담을 크게 줄여
대중화한 금시계다.
지금까지 금시계하면 롤렉스나 오메가등 외국브랜드에다 순전히 금으로
만들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 일반서민들은 감히 살 엄두를 내기 힘들었다.
부유층에서나 외국에서 수입해 차고 다니던 금시계의 가격을 내릴수 있게
된 것은 이 회사 송사장이 할로공법을 이용해 금을 가공하는 기술을 개발
했기 때문.
송사장은 90년 미국에서 공부를 마치고 금 장신구전문업체인 맥켄나사에서
3년간 일하며 이 공법을 배워 귀국했다.
95년 창업한 송사장은 2년간 6억원의 개발비를 투자해 할로공법개발에
성공했다.
금 장신구제조기법에는 탈랍주조법 체인법 전기성형법 금형주형법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할로공법은 주조압형법을 이용해 만든다.
즉 판금을 원하는 모양의 금속금형에 넣고 압력을 가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장신구 아이템들을 찍어내는 방식이다.
송원금속의 금시계는 이 방식을 이용해 얇게 가공한 금을 두조각씩 서로
맞붙이는 형태로 제작하기 때문에 겉모습과는 달리 속이 비어 있는 금줄을
만들어 낸다.
이탈리아에서 발달한 이 첨단 금가공방식을 사용하면 기존 금시계보다
금이 3분의 1 정도 덜 든다.
금 사용량이 적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적게들어 가격도 싸고 무게도 그만큼
가볍다.
론진 오메가 등 시판가가 3백만원선인 수입시계와 같은 모델의 할로팔찌시계
를 1백50만원선에 판매할수 있다는게 송사장의 설명이다.
또 금형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가공때 금 손실을 줄일수
있으며 정교한 제품을 만들수 있다고 한다.
송사장은 공장에 이미 4억원을 들여 지난달 중순 월 3백~5백개를 생산할수
있는 체제를 갖췄다.
송사장은 여기서 생산된 금시계의 3분의 1 정도만 국내에 판매하고 나머지는
외국에 수출할 방침이다.
내수는 결혼예물용은 물론 고급시계를 찾는 30~40대를 겨냥해 전국 유명
보석상과 백화점을 통해 1백만~2백만원선에 판매할 계획.
또 가격면에서 국제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외국시장 수출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이들 시계에는 18K 금과 다이아몬드 사파이어유리 기계부분인 이타무브먼트
18K 용두 등 세계유명 시계회사들이 고집하는 부품들이 부착된다.
송원은 이미 맥켄나사는 물론 시계본고장인 유럽 일본 등의 수입상들과
수출교섭을 벌이고 있다.
<이창호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