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삼성의 자동차산업 구조조정 보고서 파문에 대한 수습에 착수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10일 "산업 전체가 경기침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자동차산업이 구조조정 문제를 놓고 내부 마찰을 빚고 있는 것은
국가경제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며 "삼성자동차와 기존업체간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와 관련,이날 중에 보고서 파문을 일으킨 삼성자동차와
이에 반발하고 있는 기존업체 책임자를 잇따라 접촉, 그동안의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수습하는 방안을 협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자동차업체들에 대해 삼성자동차의 자동차산업 구조개편과 관련한
보고서를 사전에 입수해 검토하거나 삼성측의 입장에 동조한 적이 없음을
거듭 강조하고 현재 추진중인 기업의 인수.합병을 돕기 위한 금융.세제
지원방안도 특정산업이나 기업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님을 설명하기로 했다.

또 자동차업계가 요구한 삼성자동차의 지난 94년 각서내용 이행에 대한
지도.감독에 대해서는 그동안 부품산업 기반육성과 인력스카우트 배제
부문에 대해 수시로 점검했고 앞으로도 이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가질 것이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기존 자동차업체 대표들이 삼성자동차에 대해 보고서 파문과
관련한 공개사과와 재발방지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삼성측은 "직원의 불찰"
에 대해서는 유감을 표시하면서도 공개사과 등은 하지 않을 것으로 보임에
따라 양측 사이의 타협점을 적극 모색, 자동차산업의 조기 정상화를 서두를
방침이다.

< 김호영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