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class ERP97-세계 초우량기업들의 통합경영정보 세미나"가
ERP연구회와 (주)CSG 공동주최,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10~11일
대한생명보험빌딩(63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렸다.

8백여명의 정보통신분야 관계자가 참석한 이번 세미나에서는 정보시스템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 및 선진기업의 사례연구와 함께
기업 경영재구축(BPR)을 위한 도구로 주목받고 있는 ERP패키지 및 보완
솔루션이 집중적으로 소개됐다.

이번 세미나 내용중 "ERP와 한국기업의 세계화 전략"(남궁석 삼성SDS
사장)의 발표문을 요약, 정리한다.

< 정리=김수언 기자 >

=======================================================================

정보활용 분야에서의 전문가는 정보기술 요소와 환경 패러다임 변화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돼야 함은 분명하다.

그러나 정보시스템 구축기법이나 정보기술 요소에 대한 전문성보다는
정보시스템 구축이후의 정보교류와 잘 정돈된 높은 품질의 정보활용과
이에따른 경쟁력 확보가 보다 중요하다.

이것이 곧 정보산업분야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구체적인 자격요건이기
때문에 정보화사회의 리더로서 정보의 품질에 대한 책임있는 역할이
요구된다 하겠다.

그리고 정보화시대를 준비하고 정보의 고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8가지 요소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첫째는 통신으로 개별기업 그룹 국가를 포함하는 모든 조직은 중장기적
계획에서 구현가능한 가장 빠른 통신망으로 전세계적인 통신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즉 통신환경 기반의 일류화로 얘기될 수 있다.

두번째는 서버의 표준화.

각기 다른 조직과 업무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서버정책이
요구된다.

셋째는 클라이언트로 기업특성과 능률적인 업무효율을 고려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효과적인 분산과 통합정책이 필요하다.

넷째는 소프트웨어 선택.

어떤 당위성에 따라 특정 조직이 선택한 ERP 소프트웨어는 기존의
관습적인 업무처리나 특정부분에서 뛰어난 기능을 가진 다른 ERP 소프트
웨어와 달리 충분한 업무적 성과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새롭게 선택된 ERP 소프트웨어를 이용, 기존 소프트웨어에서 미진했던
부분의 보완과 함께 비지니스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과정을 통해 표준화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하는 방안이 다각도로 연구 검토돼야 할 것이다.

다섯째는 시스템 인터그레이션(시스템 통합. System Integration).

먼저 전체 정보시스템 목표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가능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후 이같은 계획을 바탕으로 다양한 업무 특성별로 시스템이 통합돼야
한다.

여섯째는 컨텐트(Content).

기업을 포함한 모든 조직은 저마다의 독특한 문화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각기다른 문화와 전통, 특성을 충분히 고려한 정보처리와 활용을
통해 조직의 경쟁력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ERP 도입의 최우선적인 목적이 조직경쟁력 창출이라고 할 때 이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일곱번째는 커뮤니케이션.

정보보안과 함께 개방정책에 의한 정보교류가 원활하게 이뤄져야 하며
불필요한 중복작업은 제거되어야 한다.

마지막은 정보시스템 활용을 위한 교육으로 선진화된 프로세스 적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 패러다임의 변화를 조직원 모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