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덕렬 < 성균관대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교수 >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보통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발생한다.

건강하던 뇌세포가 죽어가면서 치매증상이 나타난다.

아직까지도 이유를 완벽하게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유전자이상으로 잘못
만들어진 단백질이 뇌세포를 죽게 만드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는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일수록, 직계 가족중 이병에
걸린 경우가 흔할수록 많이 걸린다.

반면 학력이 높거나 상당한 지적수준을 요구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일수록
덜 걸린다.

그러나 뾰족한 예방법은 없다.

아직까지 획기적인 치료법도 없다.

하지만 병의 증세를 완화하거나 병의 악화를 둔화시키는 약물들이 최근
개발돼 한가닥 희망을 주고 있는데 대표적인게 세가지다.

타크린과 금년초부터 구미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네페질, 그리고 폐경기
이후의 여성 알츠하이머환자에게만 적용할수 있는 여성호르몬 등이다.

타크린과 도네페질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공인을 받은 것으로 뇌속의
아세틸콜린 농도를 올려준다.

모든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효과가 있지는 않지만 환자의 인지기능 악화를
감소시킨다.

도네페질이 타크린에 비해 복용이 쉽고 부작용이 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여성호르몬은 병의 악화를 둔화시킬 뿐만 아니라 환자의 인지기능을
상승시킨다.

부작용이 적고 상대적으로 값싸다.

폐경기 이후에 여성호르몬을 투여받은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알츠하이머형 치매에 덜 걸리거나 발병시기가 늦게 찾아온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이런 약물들이 개발됨에 따라 병의 조기진단과 더욱 정확한 발병원인
규명이 강조되고 있다.

치매는 치료시기가 늦으면 회복이 안된다.

치매 중기나 말기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환자의 사고력장애보다는
행동장애다.

망상 불안 초조 우울증 수면장애 공격성 등의 증상이 두드러져 가족과
함께 지내기가 불가능한 나머지 전문수용시설에 환자를 보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행동장애 개선제들은 환자를 졸립거나 멍하게 만들고 사고력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을 갖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에는 이같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행동장애를 개선하는
약물이 많이 개발돼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한편 치료가능한 치매도 있다.

신경매독 수두증 뇌종양 뇌경막하출혈 비타민결핍증 갑상선질환 등에 의한
치매로 전체 치매의 10%가량을 차지한다.

이들 치매의 증상은 알츠하이머 치매와 분간할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치매증상이나 기억장애가 있을때 무조건 고치지 못하는 치매로
간주하는 것은 절대금물이다.

예컨대 수두증에 의한 치매의 3대증상은 사고력이 점차 저하되고 보행
능력이 점점 떨어져 잘 넘어지게 되며 소변을 참지 못해 흘리는 것이다.

수두증은 간단한 수술로 완치될수 있다.

치료가능한 치매는 혈액및 뇌척수액검사 뇌촬영 등으로 쉽게 진단되므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