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양질의 노동력확보가 경쟁력 강화의 키워드가
되고 있다.

산업인력의 육성차원에서 머물던 인력정책의 방향이 노동의 질 향상으로
변화되야 한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 산업인력관리공단 안성여자기능대학은 한국경제신문사 후원으로
"국가경쟁력강화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전략과 기능장려방안"을 주제로 16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 센터에서 심포지엄을 열었다.

주제발표 내용을 요약한다.

< 정리=조주현 기자 >

======================================================================

< 여성기능인력 개발 >

최운실 < 아주대 교수 >

양질의 노동인력을 갖고 있느냐가 국가경쟁력 확보의 최대 관건이 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노동시장은 더이상 남성만의 전유물이 될 수 없다.

여성은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방대한 집단이다.

그러나 여성이 활동할 수 있는 노동시장 자체는 너무 미미했다.

지난 95년 국제연합개발기구 인간개발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여성
개발지수는 1백30개국중 37위, 여성세력화지수는 1백16개국중 90위에 그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고차원적이과 다차원적인 전문화된 숙련기능자산을 가진
여성인력을 양성하고 우대하는 장려정책은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를 위해선 여성기능직업훈련기관의 교육과정을 전면개정하고 새로운
학과를 신설해야 한다.

특히 전략수요분야를 중심으로 여성기능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는 여성
기능대학에 새로운 첨단학과 등 새로운 교육과정을 증설해 운영해야 한다.

한시적으로는 여성교육훈련 할당제(Training Quota)를 도입,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여성기능인력간에 상호정보를 교류하고 여성기능노동시장에 대한 참여
기회를 증폭시키기 위한 여성기능인력 네트워크를 국가적 차원에서 구축해
운영할 필요도 있다.

백화점이나 쇼핑센터 지하철역 등에 정보터미널을 설치해 누구나 쉽게
고용 및 교육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여성기능인력 육성을 위한 정책의 하나로 "여성기능올림픽"이나
"여성기능인력박람회" 등을 열 필요가 있다.

초기에는 국내인력을 대상으로 하되 궤도에 오르면 국제대회로 발전시켜
사회적 관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 여성기능인력 교육훈련기관들이 자료를 서로 교환토록 전문인력풀제의
도입도 검토해야 한다.

단순기능공이나 비숙련공 수준에 머물러 있는 여성기능인력의 다기능
인력화와 미래 신수요 대응력 강화 등을 위해 평생교육훈련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최근 교육개혁안에 제시돼 있는 열린학습체제 구축과 관련해 산업대학
기업체 부설대학 등에 여성기능인력이 많은 여성인력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이와 함께 내부적 교육기회도 시급히 확대해야 한다.

고용보험제도와 함께 유급교육휴가제나 육아휴직 지원제도의 확충을 통해
실제로 여성기능인력들이 교육훈련 기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 학점은행제를 활성화시켜 여성기능인력을 위한 유용한 제도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학점은행제 적용범위에 국가기술자격 소지자 우대조항을 강화,
삽입하고 정규대학이 아닌 각종 기관에서의 교육훈련과 기술연수 등의
교육프로그램 이수결과를 학점은행제 인정대상에 광역적으로 포함시키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 대학의 정시제 학생제 즉, 시간등록제를 여성기능인력개발과 기능장려를
위해 확대 실시하는 방안을 적극 강구한다.

이를 위해 시간등록제를 실시하고 있는 시범 대학의 수를 전 대학으로
확대하고 시간제 등록제 학생의 비율을 실질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게
바람직하다.

독학에 의한 학위제도 역시 동일직종에 일정기간 이상 장기근속한 경우
해당과목면제와 일부 단계의 독학사 학위취득시험면제 등과 같은 혜택을
부여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중 하나다.

여성기능인력 개발과 기능장려를 위해 각종 기관이 밀집된 여성기능인력
전문 컨소시엄을 구축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여성기능대학이나 직업훈련원 등이 공동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거나 기능분화를 통해 공조적인 역할분담체제를 구축토록 하는 것이다.

이밖에 기능장려정책이 현실적으로 포상이나 지원금제공과 같은 물질적
지원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과 병행해 우리사회의 구성원이 직종의 차별없이
적재적소에서 책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