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개혁안 파문] 이총재 외부접촉 삼가..관련기관 스케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의 금융개혁방안에 대한 한국은행등 관련기관의 반발이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이경식 한은총재는 모한방병원에서 어깨결림증 치료를 받고 이날 오전
11시께 출근.
노조측은 이에앞서 이총재가 행내 공식의견 수렴과정도 없이 정부안에
서명한데 대해 공개질의서를 전달하기 위해 총재실을 방문했으나 출근전
이어서 면담에는 실패했다.
이총재는 외부접촉을 삼가한채 집무실에서 무언가를 "장고"하고 있는
분위기.
부서장들도 이총재와의 껄끄러워진 관계를 의식, 웬만큼 급한 결제가
아니면 비서실을 통해 간접결제받는 방식을 이용.
반면 부서장들의 움직임을 사실상 통제하고 있는 최연종부총재의 방은
바삐 드나드는 직원들로 종일 분주했다.
<>.한은 부장급이상의 부서장들은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책의
마련을 위해 12명으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12인 소위)를 구성했다.
"12인 소위"는 17일 오전 회의를 열고 18일 낮12시 별관 강당에서 전직원이
참여하는 궐기대회를 개최키로 결정.
또 각계의 반응과 관련정보를 서로 교환하며 오는 19일로 예정된 신한국당
당정회의에 앞서 정치권인사들과 접촉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12인 소위"에 참여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어차피 국회에서 결판을 낼수
밖에 없다"며 "재경원 마음대로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투쟁기금마련을 위한 한은직원들의 모금운동도 전개됐다.
"12인 소위"는 비상대책기구의 활동에 들어가는 비용을 위해 부서장 1인당
30만원씩, 과장들은 1인당 15만원씩 갹출했다.
한은노조도 전국 본.지점의 조합원들을 상대로 모금운동을 펼쳐 나가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 조일훈기자 >
<>.이경식 총재의 밀실합의로 한국은행의 전 임직원들이 이총재 불신임에
나서는 등 정부의 중앙은행 제도 개선안에 대한 파문이 커지면서 이총재가
한은의 내부정서를 무시하고 재정경제원이 마련한 최종안에 손을 들어준
배경에 한은 직원들의 호기심이 집중.
한은 내부에서는 대략 3~4가지로 크게 압축해 겉으로는 한은의 은행감독
기능이 필수적이라고 표명해 오다 입장을 완전 선회한 이총재의 마인드를
짐작하고 있다.
첫째가 "YS 보은설"로 김영삼 대통령이 TK출신인 자신을 문민정부의 첫
경제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으로 기용해준 데 대한 보답이라는 분석이다.
다음으로는 "김구설"이다.
김구가 민족의 통일이라는 순수한 목적에서 38선을 넘어 북한의 노동당
세력과 대화에 나섰지만 결국 농락과 배신만 당한 것과 이총재의 처신이
비슷하다는 분석이다.
마지막으로 "트로이 목마설"이 노조를 중심으로 그럴듯하게 퍼지고 있다.
한은을 정부의 시녀로 전락시키려는 관가의 일관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제기획원에서 잔뼈가 굵은 이경식씨를 지난 95년 한은에 투입했다는
것이다.
<>.박청부 증권감독원장은 17일 오후 기자들과 만나 금융기관통폐합에
대해 "재정경제원과 함께 법안을 만드는 과정에서 증권관련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의견을 개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해 조건부찬성 입장을
표명.
박원장은 또 증감원 직원들이 통폐합에 대해 거세게 반발하는데 대해
"조직개편은 정부의 고유권한이며 금융기관통합에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가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며 "자본시장과 관련된 감독업무등을 개선시키는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강조.
박원장은 "증권시장의 특수성을 감안해 금융감독위원회와는 별도로 증권.
선물거래위원회가 독자적으로 운영돼야 한다"며 "이점은 지난 14일 강경식
부총리와 은행 증권 보험감독원장이 함께 만난 자리에서도 의견을 개진했다"
고 설명.
직원들의 신분 및 대우에 대해서 박원장은 "공무원신분으로 바뀌는 3개
감독원 직원들의 봉급이 낮아지는 것을 보전하기 위해 정부가 특별회계를
편성해 임금차이를 메우는 방안을 강구중인 것으로 안다"고 전언.
한편 증감원노동조합은 박원장의 조건부 찬성발언에 대해 "증감원 최고
수장으로서 무책임한 언사"라며 "무기한 철야농성을 계속하면서 비상대책
위원회를 구성, 박원장 퇴진운동을 강도 높게 벌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최명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8일자).
거세지고 있다.
<>.이경식 한은총재는 모한방병원에서 어깨결림증 치료를 받고 이날 오전
11시께 출근.
노조측은 이에앞서 이총재가 행내 공식의견 수렴과정도 없이 정부안에
서명한데 대해 공개질의서를 전달하기 위해 총재실을 방문했으나 출근전
이어서 면담에는 실패했다.
이총재는 외부접촉을 삼가한채 집무실에서 무언가를 "장고"하고 있는
분위기.
부서장들도 이총재와의 껄끄러워진 관계를 의식, 웬만큼 급한 결제가
아니면 비서실을 통해 간접결제받는 방식을 이용.
반면 부서장들의 움직임을 사실상 통제하고 있는 최연종부총재의 방은
바삐 드나드는 직원들로 종일 분주했다.
<>.한은 부장급이상의 부서장들은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책의
마련을 위해 12명으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12인 소위)를 구성했다.
"12인 소위"는 17일 오전 회의를 열고 18일 낮12시 별관 강당에서 전직원이
참여하는 궐기대회를 개최키로 결정.
또 각계의 반응과 관련정보를 서로 교환하며 오는 19일로 예정된 신한국당
당정회의에 앞서 정치권인사들과 접촉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12인 소위"에 참여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어차피 국회에서 결판을 낼수
밖에 없다"며 "재경원 마음대로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투쟁기금마련을 위한 한은직원들의 모금운동도 전개됐다.
"12인 소위"는 비상대책기구의 활동에 들어가는 비용을 위해 부서장 1인당
30만원씩, 과장들은 1인당 15만원씩 갹출했다.
한은노조도 전국 본.지점의 조합원들을 상대로 모금운동을 펼쳐 나가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 조일훈기자 >
<>.이경식 총재의 밀실합의로 한국은행의 전 임직원들이 이총재 불신임에
나서는 등 정부의 중앙은행 제도 개선안에 대한 파문이 커지면서 이총재가
한은의 내부정서를 무시하고 재정경제원이 마련한 최종안에 손을 들어준
배경에 한은 직원들의 호기심이 집중.
한은 내부에서는 대략 3~4가지로 크게 압축해 겉으로는 한은의 은행감독
기능이 필수적이라고 표명해 오다 입장을 완전 선회한 이총재의 마인드를
짐작하고 있다.
첫째가 "YS 보은설"로 김영삼 대통령이 TK출신인 자신을 문민정부의 첫
경제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으로 기용해준 데 대한 보답이라는 분석이다.
다음으로는 "김구설"이다.
김구가 민족의 통일이라는 순수한 목적에서 38선을 넘어 북한의 노동당
세력과 대화에 나섰지만 결국 농락과 배신만 당한 것과 이총재의 처신이
비슷하다는 분석이다.
마지막으로 "트로이 목마설"이 노조를 중심으로 그럴듯하게 퍼지고 있다.
한은을 정부의 시녀로 전락시키려는 관가의 일관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경제기획원에서 잔뼈가 굵은 이경식씨를 지난 95년 한은에 투입했다는
것이다.
<>.박청부 증권감독원장은 17일 오후 기자들과 만나 금융기관통폐합에
대해 "재정경제원과 함께 법안을 만드는 과정에서 증권관련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의견을 개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해 조건부찬성 입장을
표명.
박원장은 또 증감원 직원들이 통폐합에 대해 거세게 반발하는데 대해
"조직개편은 정부의 고유권한이며 금융기관통합에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가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며 "자본시장과 관련된 감독업무등을 개선시키는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강조.
박원장은 "증권시장의 특수성을 감안해 금융감독위원회와는 별도로 증권.
선물거래위원회가 독자적으로 운영돼야 한다"며 "이점은 지난 14일 강경식
부총리와 은행 증권 보험감독원장이 함께 만난 자리에서도 의견을 개진했다"
고 설명.
직원들의 신분 및 대우에 대해서 박원장은 "공무원신분으로 바뀌는 3개
감독원 직원들의 봉급이 낮아지는 것을 보전하기 위해 정부가 특별회계를
편성해 임금차이를 메우는 방안을 강구중인 것으로 안다"고 전언.
한편 증감원노동조합은 박원장의 조건부 찬성발언에 대해 "증감원 최고
수장으로서 무책임한 언사"라며 "무기한 철야농성을 계속하면서 비상대책
위원회를 구성, 박원장 퇴진운동을 강도 높게 벌여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최명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