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창업때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자금조달이며 은행은 정부의 창업
지원정책자금대출에 대해서도 "꺾기"를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중소기업청이 최근 중진공과 합동으로 벤처기업을 포함한
2백4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및 벤처기업창업실태 "조사
결과 밝혀졌다.

19일 이 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이 창업지원정책자금을 대출받은 과정에
서 46.7%가 구속성예금을 강요받은 경험이 있고 구속성예금은 대출금의
20%미만이 68.5%로 가장 높았다.

구속성예금이 일반대출자금뿐 아니라 정부의 재정자금 대출에까지 무차별
적으로 실시돼온것.

창업전후로 자금사정이 가장 어려웠던 시기는 "창업후 1-2년"이라는 응
답이 28.9%로 가장 많았다.

창업소요자금은 벤처기업이 3억2천만원,일반기업이 9억원으로 평균 6억
1천만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벤처기업은 공업입지선정시 "인력확보용이"(32.3%)를 가장 중요 고려
요인으로 꼽고있는 반면 일반기업은 "용지취득용이"(25.4%)를 꼽았다.

창업지원과 관련,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부문으로는 자금지원
(26.0%)을 우선 꼽았으며 다음으로 "신용보증지원"(17.8%)"기술담보제도
입"(15.0%)"규제완화"(11.8%) 순이었다.

한편 벤처기업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추진중인 제도중에서 기술담보제도
입( 70.8%)를 가장 긍정적으로 보고있으며 벤처기업창업자 신용보증특례
제도신설 (65.4%)병역특례전문연구요원의 중소기업활용도제고(61.7%)비즈
니스엔젤제도도입(59.6%)벤처기업전용창업단지조성(49.2%)도 긍정적인 반
응도를 보였다.

< 신재섭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