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진단] '8개국 정상회담' .. 일본의 대응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덴버의 8개국 정상회담을 앞두고 하시모토 일본총리와 옐친 러시아대통령에
서방언론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회담에선 국제정치경제의 광범위한 의제들이 다뤄지지만 경제이슈는
일본의 무역흑자와 구조조정, 주요통화의 환율안정 등으로 요약된다.
당연히 하시모토의 보따리에 관심이 쏠린다.
다음은 이번 회담을 계기로 서방진영의 일원으로 공식 데뷔하는 러시아에
눈길이 모아진다.
이번 회담의성과는 옐친대통령의 친서방노선의 장래에도 큰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덴버회담에 임하는 일본의 입장을 집중 조명한다.
< 편집자 주 >
========================================================================
20일 미국 덴버에서 열리는 8개국 정상회담(G7+러시아)의 최대 관심사항은
일본의 무역흑자 급팽창 문제다.
관측통들은 이번에 어떤식으로 든지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심지어 공동성명에 이 문제가 채택될 것이란 관측마저 제기되고 있다.
내수확대책만이 일본의 무역흑자를 줄일 수 있다는 미국의 주장에 다른 G7
정상들도 광범위한 지지를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엔저를 등에 업고 수출증대로 경기회복을 꾀하고 있는 일본으로선 궁지에
몰리게 된 셈이다.
심각한 재정적자에 처해있는 일본으로서는 내수확대책을 곧바로 수용하기
어렵다.
무역흑자를 줄일수 있는 현실적인 수단은 엔고밖에 없는데 이는 일본
재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일본재계는 현재 1백10엔이상은 "과도하다"고 맞서고 있다.
딜레마에 처한 일본은 일단 급한 불을 끄기위한 방편으로 재정개혁등
규제완화와 내수확대 정책을 강력히 추진할 것을 약속하는 선에서 G7의
협공을 피해갈 것으로 보인다.
이와관련, 19일 니혼게이자이(일본경제)신문은 "하시모토 총리는 덴버회담
에서 재정구조개혁 금융개혁등 규제완화를 통한 내수확대책을 실시해 무역
흑자의 급팽창을 억제한다는 일본정부의 방침을 표명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와함께 아프리카 빈국들의 경제원조 국제금융시장 위험대처 등 세계경제
의 당면문제에도 발벗고 나설 것을 다짐할 것이다.
특히 미국측이 주도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아프리카 경제지원에 대해 일본은
아시아 각국에 의한 아프리카 원조를 일본이 앞장서 추진할 것임을 분명히
할 것이다.
이는 대일무역적자 증가로 미국의 뒤틀린 심기를 조금이라도 완화하려는
전략이라는 분석도 있다.
금융위기 조짐을 보이고 있는 동남아금융시장의 안정과 관련, 일본은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금융.증권 감독당국간의 협력관계를 한층 강화해
아시아 지역의 금융위기를 사전에 방지하는 공조체제 방안을 제안할 예정
이다.
일본은 또 오는 2001년까지 일본판 빅뱅(금융대개혁)을 완료해 업계간
경쟁 촉진과 투명한 규칙을 기본으로 하는 감독제체 강화등 중장기 재정
개혁 정책을 설명할 예정이다.
< 장진모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20일자).
서방언론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회담에선 국제정치경제의 광범위한 의제들이 다뤄지지만 경제이슈는
일본의 무역흑자와 구조조정, 주요통화의 환율안정 등으로 요약된다.
당연히 하시모토의 보따리에 관심이 쏠린다.
다음은 이번 회담을 계기로 서방진영의 일원으로 공식 데뷔하는 러시아에
눈길이 모아진다.
이번 회담의성과는 옐친대통령의 친서방노선의 장래에도 큰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덴버회담에 임하는 일본의 입장을 집중 조명한다.
< 편집자 주 >
========================================================================
20일 미국 덴버에서 열리는 8개국 정상회담(G7+러시아)의 최대 관심사항은
일본의 무역흑자 급팽창 문제다.
관측통들은 이번에 어떤식으로 든지 가시적인 성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심지어 공동성명에 이 문제가 채택될 것이란 관측마저 제기되고 있다.
내수확대책만이 일본의 무역흑자를 줄일 수 있다는 미국의 주장에 다른 G7
정상들도 광범위한 지지를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엔저를 등에 업고 수출증대로 경기회복을 꾀하고 있는 일본으로선 궁지에
몰리게 된 셈이다.
심각한 재정적자에 처해있는 일본으로서는 내수확대책을 곧바로 수용하기
어렵다.
무역흑자를 줄일수 있는 현실적인 수단은 엔고밖에 없는데 이는 일본
재계가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일본재계는 현재 1백10엔이상은 "과도하다"고 맞서고 있다.
딜레마에 처한 일본은 일단 급한 불을 끄기위한 방편으로 재정개혁등
규제완화와 내수확대 정책을 강력히 추진할 것을 약속하는 선에서 G7의
협공을 피해갈 것으로 보인다.
이와관련, 19일 니혼게이자이(일본경제)신문은 "하시모토 총리는 덴버회담
에서 재정구조개혁 금융개혁등 규제완화를 통한 내수확대책을 실시해 무역
흑자의 급팽창을 억제한다는 일본정부의 방침을 표명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와함께 아프리카 빈국들의 경제원조 국제금융시장 위험대처 등 세계경제
의 당면문제에도 발벗고 나설 것을 다짐할 것이다.
특히 미국측이 주도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아프리카 경제지원에 대해 일본은
아시아 각국에 의한 아프리카 원조를 일본이 앞장서 추진할 것임을 분명히
할 것이다.
이는 대일무역적자 증가로 미국의 뒤틀린 심기를 조금이라도 완화하려는
전략이라는 분석도 있다.
금융위기 조짐을 보이고 있는 동남아금융시장의 안정과 관련, 일본은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과 금융.증권 감독당국간의 협력관계를 한층 강화해
아시아 지역의 금융위기를 사전에 방지하는 공조체제 방안을 제안할 예정
이다.
일본은 또 오는 2001년까지 일본판 빅뱅(금융대개혁)을 완료해 업계간
경쟁 촉진과 투명한 규칙을 기본으로 하는 감독제체 강화등 중장기 재정
개혁 정책을 설명할 예정이다.
< 장진모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2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