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조를 보이고 있는 신한국당의 경선구도는 30일 귀국한 김영삼대통령이
당대표와 관련해 금명간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상당한 변화가 초래될
전망이다.

각 대선예비주자 진영에서는 이회창대표가 1일 김대통령과의 마지막 주례
보고에서 대표직 사퇴의사를 밝힐 것으로 보고 김대통령이 당대표서리를
임명할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치발전협의회를 비롯한 반이 진영은 김대통령이 새대표를 임명하길 기대
하고 있다.

그럴 경우 김대통령은 그들이 주장한대로 이대표가 불공정 경선시비를 불러
일으켰다는 점을 인정, 사실상 경질한다는 의미를 갖는다고 보고 있기 때문
이다.

물론 김대통령이 구체적인 언급은 할수 없겠지만 새대표를 임명하는 것은
''김심''이 자신들쪽에 있다는 의미이거나 최소한 ''친 이회창''은 아니라는
점을 확인시켜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확대 해석하면 이대표의 대표직 ''박탈''로 ''이회창 대세론''은 완전히 소멸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반이 진영은 김대통령이 새대표를 임명하지 않고 박관용 사무총장의 직무
대행 체제로 끌고 가는 것에 대해서는 별로 탐탁지 않게 생각하고 있다.

박총장이 이제까지 외관상 중립입장을 고수했지만 반이 진영쪽에서는
친이쪽이 아니냐는 시각을 떨쳐 버릴수 없었기 때문이다.

또 당내에서 경선시비가 일었기 때문에 이대표를 시비대상에서 잠깐 비켜
있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박찬종고문은 30일 "과도기적이라도 당이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중립적인
인사중에서 중후한 사람이 대표를 맡아야 한다"고 지도체제 혁신을 촉구했다.

이한동고문측도 "대야 관계, 특히 임시국회를 고려하고 공정경선을 보장하기
위해 중립성 있는 인물로 대표를 임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대표진영의 입장은 반이 진영의 기대나 관측을 정반대로 돌려 놓으면
쉽게 파악될 수 있다.

이대표측은 겉으로는 "인사권자인 당 총재가 결정할 문제"라며 어떤 결론이
나오든 개의치 않겠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내심으로는 박총장 대행체제를
바라고 있다.

이대표의 한 측근은 "전당대회까지 당무의 중심이 자연스럽게 경선관리에
모아질 것인 만큼 얼마 안되는 기간을 위해 후임 대표를 뽑기보다는 선거관리
위원장을 중심으로 당을 이끌면 되지 않겠느냐"고 말해 새대표 임명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현재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이대표측으로서는 경선구도에 변화가 초래될지도
모르는 지도체제 개편이 밑져야 본전일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날 귀국한 김대통령은 그동안 여권의 대선 예비주자들을 두루 접촉한
김광일 정치특보를 비롯 일부 대선주자들과도 차례로 ''독대''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정치권의 관심은 이제 김대통령에게로 쏠리고 있다.

< 박정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