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차이나가 출범한지 사흘째로 접어들면서 새 홍콩정부의 경제및 정치
사회 정책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둥젠화(동건화) 홍콩특구행정장관을 비롯한 홍콩 정부 리더들의 발언과
공무원들의 후속조치등을 통해 반환이후의 정책 실체가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홍콩정부는 경제정책에 관해선 명확하게 정책 방향을 공개했다.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면서 동시에 주택공급 물량을 늘려 나간다는 것을
경제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삼았다.

둥행정장관은 1일 정책연설을 통해 "최근 몇개월간 부동산 시장에 불어닥친
투기 열기로 홍콩의 경쟁력과 주민생활이 타격을 받게 됐다"며 부동산부문
에서 강력한 정책을 펼 것임을 강조했다.

둥장관은 부동산 시장동향을 면밀하게 감시해 투기억제책을 펴면서 주택
보급률을 10년안에 70%로 끌어 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관련, 새 정부는 주택공급 10개년 계획을 세울 것이라고 공개했다.

매립지 확대를 통한 택지조성은 물론 대중교통 체계 개선과 사회간접자본
투자 확충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10개년계획에 포함될 예정이다.

홍콩은 중국으로의 반환을 앞두고 부동산 매입 열기가 고조되면서 아파트
가격과 사무실 임대료가 치솟아 싱가포르 도쿄등과 비교해 경쟁력이 크게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감이 커졌다.

홍콩 경제가 외국 서비스업체 유치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때
부동산 가격 급등은 민생은 물론 홍콩의 경쟁력자체를 추락시킬 수 있는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우려감을 반영해 홍콩차이나의 새 정부가 경제정책에서 부동산정책을
0순위로 다룬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홍콩 반환에 앞서 영국과 미국등이 걱정했었던 시민권 제한과 관련해
홍콩 새 정부는 일단 유화적인 접근책을 선택했다.

주권반환 첫날인 1일 진보당 인사들 주도로 3천여명이 시위를 벌이면서
"1당 독재 타도"라는 구호까지 들고 나왔는데도 홍콩 경찰은 2개 차선을
시위대에 허용했다.

중국 공산당정부를 겨냥해 1당 독재를 비판하는 시위가 일어날 경우 새
정부는 과거와 다른 시위통제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으나 결과적으로 서방측
의 예상은 빗나간 셈이다.

홍콩정부와 중국이 대외 이미지를 고려해 시위를 허용한 것으로 보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시위가 벌어진 1일 임시입법회는 시위와 정치활동에 제한을 가할 수
있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따라서 홍콩차이나는 옛날의 홍콩과 비교해 보다 비민주적인 정책을 제시할
것이라는 우려감은 계속 남아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