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면톱] 공공료가 물가상승 주도 .. 올들어 3.2%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들어 소비자물가 안정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공공요금이 민간 자율
요금 상승폭을 훨씬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재정경제원에 따르면 올들어 6월까지의 공공요금 상승률은 3.2%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2.4%를 웃돌고 있다.
특히 이 기간중 중앙정부가 결정하는 공공요금 상승률은 2.2%인데 반해
지방자치단체 결정분의 상승률은 4.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품목별로 보면 중앙정부 결정 요금의 경우 고속도로 통행료가 12.9%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시외버스요금 8.3%, 고속버스요금 7.8%, 자동차
보험료 5.8% 등으로 나타났다.
또 국.공립대 납입금 5.6%, 의보수가 4.7%, 시내전화요금 4.0%가 각각
인상됐으며 다만 시외.국제.이동전화요금은 8.3~13.2% 인하됐다.
지자체 결정 요금의 경우는 하수도요금(15.0%), 도시가스요금(12.2%),
쓰레기봉투값(11.9%) 등이 두자리수의 높은 인상률을 나타냈으며 중.고교
납입금 5.3%, 시내버스요금 2.7%, 상수도요금 2.5% 등이다.
게다가 이달들어서도 전기요금이 평균 5.9% 인상된데 이어 지하철요금이
50원, 철도요금이 평균 9.5% 오르는 등 공공요금의 상승폭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재경원 관계자는 "물가구성 품목별 가중치를 고려할 경우 올들어 6월까지의
소비자물가상승률 2.4% 가운데 공공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0.43%포인트에
불과하며 7월들어 인상된 공공요금의 물가비중도 0.12%포인트 정도"라고
말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중 공산품(1.3%), 집세(1.9%), 농산물(3.2%) 등 민간부문
상승률이 공공요금 인상률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고 개인서비스요금
(3.6%)도 예년에 비해 매우 안정적이라는 점에 비춰 볼때 정부가 물가상승을
주도하고 있다는 비난을 면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15일자).
요금 상승폭을 훨씬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재정경제원에 따르면 올들어 6월까지의 공공요금 상승률은 3.2%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2.4%를 웃돌고 있다.
특히 이 기간중 중앙정부가 결정하는 공공요금 상승률은 2.2%인데 반해
지방자치단체 결정분의 상승률은 4.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품목별로 보면 중앙정부 결정 요금의 경우 고속도로 통행료가 12.9%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시외버스요금 8.3%, 고속버스요금 7.8%, 자동차
보험료 5.8% 등으로 나타났다.
또 국.공립대 납입금 5.6%, 의보수가 4.7%, 시내전화요금 4.0%가 각각
인상됐으며 다만 시외.국제.이동전화요금은 8.3~13.2% 인하됐다.
지자체 결정 요금의 경우는 하수도요금(15.0%), 도시가스요금(12.2%),
쓰레기봉투값(11.9%) 등이 두자리수의 높은 인상률을 나타냈으며 중.고교
납입금 5.3%, 시내버스요금 2.7%, 상수도요금 2.5% 등이다.
게다가 이달들어서도 전기요금이 평균 5.9% 인상된데 이어 지하철요금이
50원, 철도요금이 평균 9.5% 오르는 등 공공요금의 상승폭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재경원 관계자는 "물가구성 품목별 가중치를 고려할 경우 올들어 6월까지의
소비자물가상승률 2.4% 가운데 공공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0.43%포인트에
불과하며 7월들어 인상된 공공요금의 물가비중도 0.12%포인트 정도"라고
말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중 공산품(1.3%), 집세(1.9%), 농산물(3.2%) 등 민간부문
상승률이 공공요금 인상률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고 개인서비스요금
(3.6%)도 예년에 비해 매우 안정적이라는 점에 비춰 볼때 정부가 물가상승을
주도하고 있다는 비난을 면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