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시장이 비틀거리고 있다.

코스닥신규등록기업의 입찰최고가를 2백%까지 높일수 있도록 규정이
개정된뒤부터 입찰기업의 주가하락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

지난해 감사원은 증권감독원 감사에서 1백50%까지로 제한된 코스닥기업의
입찰최고가 상한이 우량벤처기업의 코스닥등록을 저해한다며 최고가를
높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취지는 좋았지만 기업가치와 상관없이 대부분 입찰가가 본질
가치의 1백90%이상에서 결정되고 있어 처음부터 버블의 가능성을 안고
등록되는 종목이 많은 실정이다.

이와관련 삼진의 주가를 7만원으로 예상한 동원증권은 2만5천3백원까지
주가가 추락, 투자자들의 항의자 빗발치자 "코스닥시장의 위축에 따라
일시적으로 주가가 떨어지고 있다"고 분석이 잘못되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대주주의 횡포도 문제다.

주가가 빠지는 것이 대주주가 물량을 출회하는 시점과 일치되고 있다.

테라는 등록 3일째부터 대주주보유지분이 매물로 나오자 마자 상한가에서
하한가로 돌변했다.

인터링크시스템도 등록첫날부터 대주주물량이 출회돼 하한가를 맞았다.

이에반해 상장법인은 상장후 6개월동안 대주주지분을 팔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와함께 시장조성제도의 도입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거래소시장에서는 주가가 공모가를 밑돌면 주간사가 3개월간 시장조성을
해야하지만 코스닥등록기업에 대해서는 시장조성의무가 없다.

감독기관의 관리부실은 더 근본적인 문제다.

관리주체가 증권감독원과 증권업협회로 이원화돼 있어 문제가 발생하면
서로 책임떠넘기기에 바쁘다.

협회는 코스닥시장에 대한 대주주의 인식전환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을
실시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예산부족을 핑계로 한번도 실시하지 못했다.

최근 3백만원을 호가하는 노트북컴퓨터를 전직원에게 나눠줬지만 강습할
돈을 없다는 모순된 주장이다.

시장을 종합적으로 관리해야할 정책당국도 팔짱을 끼고 있다.

애초 5월부터 허용키로 했던 코스닥시장에 대한 외국인투자자의 투자
허용은 6월과 7월로 두차례 연기됐으나 아직 일정 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전문시장을 만들겠다던 정부의 공언도 금융개혁이다
뭐다해서 바쁘다는 핑계로 표류하고 있다.

6월말로 실시예정이던 벤처기업을 위한 새로운 시장제도개편문제는
공청회 일정도 못잡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 감독기관 증권사등의 총체적인 부실이 코스닥시장을 비틀거리게
하고 있다.

<백광엽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19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