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녹산.명지주거단지가 잇따른 해약사태를 빚고 지사과학단지 조성조차
표류하는 등 서부산권 개발이 차질을 빚고 있다.

한국토지공사 부산지사는 녹산주거단지 10만4천평을 지난해초 8개
건설업체에 전량 분양했으나 보성건설이 지난 5일 해약을 한데 이어
고려개발 현대건설 풍림산업 등도 해약을 검토하고 있다.

이같은 해약 움직임은 녹산공단의 지반침하로 입주 예정자들이 대거
아파트 분양을 해약해 단지조성에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주거단지의 공기도 1년이나 지연, 10%의 위약금을 물더라도 해약하는
것이 타격을 덜 입는다는 생각에 따른 것이라고 건설업체들은 설명했다.

부산시종합건설본부는 또 명지주거단지 20만9천평을 6개 건설업체에 분양
했으나 대동이 지난 6월말 계약을 해지했다.

이어 반도종합건설 삼정주택 흉유종합건설 등도 지난 9일과 10일 각각
계약해약을 통보했다.

건설업체 관계자는 지반침하로 개량공사비가 평당 1백20여만원이 추가
소요되는데다 현재 2백17%인 용적률을 아무리 높여도 사업성이 없어 다른
사업쪽에 투자하는 것이 이득이라는 판단에 따라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또 한국토지공사는 당초 부산 강서구 녹산동 일대 1백34만여평을 지사
과학단지로 개발키로 했으나 지난 4월말 경사가 급한 산기슭 33만평의 경우
개발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제외한 뒤 1백1만평만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불과 3개월도 안돼 토공은 또다시 사업구역내 일부 산기슭의 경사가 너무
급하다며 이를 제외하는 방향으로 개발면적 축소를 검토, 계획수립에
면밀하지 못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이같은 검토로 지난 19일 완료예정이던 과학단지 입주희망업체
수요조사용역작업이 마무리단계에서 중단되는 등 각종 개발작업들이 차질을
빚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부산시나 토공이 정밀한 검토없이 21세기 부산을 이끌어
갈 녹산.신호.지사 등 서부산권 지역을 개발하고 있다며 과학적인 근거에
바탕을 둔 개발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 부산=김태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