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시장 활성화되기 위해선 지분분산비율을 높이고 수요기반을 확대해
투자저변을 넓히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했다.

아울러 투자자들도 코스닥시장이 고위험 고수익의 시장임을 인식하고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또 정책당국은 일시적인 충격요법보다 코스닥시장의 체질을 강화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코스닥시장 활성화를 위한 각계 의견을 들어보았다.


<> 성낙용 동서증권 이사 =유동성 부족이 제일 큰 문제다.

지분분산비율을 확대해 투자자 저변을 확대해야 매매가 활성화되고
주가거품도 사라질 것이다.

또 투자자 보호가 다른 것보다 우선돼야 한다.

투자자의 신뢰를 잃으면 시장의 존립근거가 무너지게 되므로 정책의
우선순위를 투자자 보호에 둬야 한다.

이와함께 투자자들도 주가를 보는 눈을 길러야 한다.

정보통신업종이나 벤처기업이라고 해서 부화뇌동해서는 안된다.

또 작전에 편승해 투자하는 행태도 탈피해야 한다.


<> 이영성 서울시스템 부사장 =최근 코스닥시장의 부진으로 열심히 하고
있는 기업까지 도매금으로 취급받아 서운하다.

시장활성화를 위해 국민연금관리공단 등의 연기금이 코스닥시장에 자산의
일정비율 이상을 투자토록 하는 등의 수요확충방안이 필요하다.

또 등록기업들이 해외투자자본과 제휴할수 있는 사업설명회 등의 장을
정부나 관련기관이 마련해주면 좋을 것이다.

이와 함께 기술력이 전부인 코스닥 벤처기업들의 기술개발을 독려하기 위해
개발비를 자산으로 평가받을수 있도록 하고 병역특례 할당인원도 현재보다
늘려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 투자자 김형길씨(울산) =코스닥을 이용한 대주주들의 주가조작행위가
사라져야 한다.

유동성이 부족한 상태에서 대주주가 약간의 물량만 출회해도 주가는 당연히
떨어진다.

일시적으로는 대주주가 돈을 벌지 모르지만 코스닥시장이 흔들리면 대주주
에게도 자본시장을 이용할수 있는 기회가 제한돼 큰 손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정책당국도 대주주들의 횡포를 방지할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 외국인에 대한 투자개방문제가 빠른 시일내에 시행돼야 한다.


<> 윤정용 증권업협회 부회장겸 코스닥증권 사장 =최근 코스닥시장이
주춤거리고 있는 것은 발생사 증권사 투자자 모두에게 큰 교훈을 남겼다.

시장질서가 어지러우면 모두에게 손해라는 점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코스닥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우량벤처기업들이 코스닥시장을 찾을수
있도록 문호를 확대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건의중인 유망선진기술기업(중소기업청) 유망정보통신기업
(정보통신부) 공업기반기술개발사업자(통상산업부) 등이 하루빨리 벤처기업
으로 인정받아 코스닥시장에 등록돼야 할 것이다.

알짜배기 기업이 늘어나고 협회가 추진중인 입찰제도 개선 등 일련의
조치들이 이어지면 코스닥은 명실공히 중소벤처기업을 위한 시장으로
성장할수 있을 것이다.


<> 이갑수 증권감독원 시장분석국장 =코스닥시장이 정치논리로 재단돼서는
안된다.

정부가 인위적인 조정이나 벤처기업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 등 등록기준의
이원화를 통해 시장볼륨을 키우려고 한다면 피해는 고스란히 투자자가 입게
된다.

역설적으로 공시제도 등 시장운영체제를 기본에서부터 다시 점검, 질적인
향상을 꾀하고 시장외부의 간섭을 줄일때 코스닥시장은 제기능을 할수 있다.

투자자들도 아직 코스닥시장이 거래소보다 열등함을 인식하고 투자판단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무조건 이익을 내야 한다는 생각은 위험한 발상이다.

외국인 투자허용문제는 곧 시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백광엽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