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사태로 인해 경기회복시기가 98년이후로 지연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
됐다.

또 정부의 적절한 사전대응이 없다면 앞으로 수년내에 일부 금융기관이 지
급불능사태에 이르는등 심각한 금융위기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금융연구원은 23일 기아사태에 따른 영향을 집중 분석한 "97년도 하반기의
우리경제"란 자료를 이같이 전망했다.

금융연구원은 "은행부실화로 인해 신용경로가 위축되면서 경기회복세가 크
게 약화돼 경기회복시기가 98년이후로 지연될 우려가 있다"며 "신용경색에
따른 금리차등화와 자금편중대출 현상이 심해질 경우 실업률증가와 경기양극
화가 초래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경제운영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정부산하연구단체 및 민간연구소들은 경기회복시기를 대체로 올 3.4분기나
4.4분기로 추정했었다.

금융연구원은 예기치 않는 충격이 추가로 발생할 경우 성장률이 당초보다
0.2%포인트정도 하락할 수 있으며 단기적으로 금리는 1%포인트 상승하고 환
율은 당분간 절하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함께 금융연구원은 BIS(국제결제은행)가 제시한 기준(거시요인 미시요
인 정부요인)에 맞춰 금융위기 조기경고지표를 분석한 결과 현재 급박한 위
기상황은 아니지만 향후 미시적 요인을 실질적으로 개선해야하는 "요주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정부는 부실은행에 한은특융을 해주는등 단기유동성의 공급을 확
대해 부분적인 예금 인출사태의 발생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해야한다고 금융연
구원은 강조했다.

< 이성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7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