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개 대학 한총련 탈퇴 .. 중앙조직원 1천53명 나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검 공안부 (주선회 검사장)는 31일 동아대 세종대 강원대가 한총련을
탈퇴, 탈퇴시한을 8시간 남겨둔 이날 오후 4시 현재 한총련 탈퇴 대학은
전체 2백6개 대학의 60.2%인 1백24개 (4년제 대학 69개, 전문대 55개)
대학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검찰은 또 인원수로는 지난달 10일 한총련 중앙조직이 이적단체로
규정된 후 전체 중앙조직원 1천6백58명 가운데 63.5%인 1천53명 (총학
단위 6백83명, 개인탈퇴 3백70명)이 탈퇴했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사법처리 대상자는 미탈퇴자 6백5명중 구속된 52명을 제외한
5백53명으로 줄어들었다.
검찰 관계자는 "성균관대 등 일부 대학이 2학기 개강후 학생투표를 통해
한총련탈퇴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으나 이날까지 한총련을 탈퇴하지
않은 학생들은 전원 국가보안법상 이적단체 구성및 가입 혐의로 공개
소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김인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일자).
탈퇴, 탈퇴시한을 8시간 남겨둔 이날 오후 4시 현재 한총련 탈퇴 대학은
전체 2백6개 대학의 60.2%인 1백24개 (4년제 대학 69개, 전문대 55개)
대학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검찰은 또 인원수로는 지난달 10일 한총련 중앙조직이 이적단체로
규정된 후 전체 중앙조직원 1천6백58명 가운데 63.5%인 1천53명 (총학
단위 6백83명, 개인탈퇴 3백70명)이 탈퇴했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사법처리 대상자는 미탈퇴자 6백5명중 구속된 52명을 제외한
5백53명으로 줄어들었다.
검찰 관계자는 "성균관대 등 일부 대학이 2학기 개강후 학생투표를 통해
한총련탈퇴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으나 이날까지 한총련을 탈퇴하지
않은 학생들은 전원 국가보안법상 이적단체 구성및 가입 혐의로 공개
소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김인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