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대우 기아가 기아특수강의 공동운영에 전격 합의함에 따라 앞으로
기아특수강이 어떻게 운영되고 지급보증의 분할은 어떤 형태로 이뤄질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합의는 <>동업자로서 기아를 돕는다는 "명분"과 <>기아를 도와
스스로를 보호한다는 "실리"가 함께 한다는 점에서 3사 모두 반기는
입장이다.

그러나 원칙에는 합의했지만 실제 공동운영에 들어가기까지는 해결해야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는 것도 부인할수 없는 어려움이다.

현대 대우 기아는 정세영명예회장 김우중회장 김선홍회장이 원칙에 합의한
직후 실무진들이 모여 공동운영을 위한 사전작업에 착수했다.

현대자동차는 합의 직후인 31일 오후 재경본부장인 이방주전무를 기아그룹
에 보내 기아특수강의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도록 한데 이어 1일 오전
실무반을 구성했다.

대우자동차도 이날 실무조사작업을 시작했다.

그러나 아직은 현대 대우는 물론 기아그룹도 공동운영체제의 미래를
쉽게 이야기할수는 없는 처지다.

아무리 총수간의 합의라도 실무에서는 실익을 따져 봐야 하는데다 갑작스런
결정이어서 예단이 어렵기 때문이다.

기아그룹에 들렀던 현대자동차 이방주 전무는 "지분을 나누는 방법부터
경영진을 구성하는 방법등 해결해야할 문제가 산적해 있다"며 "실무진을
구성했지만 특수강의 경영상태부터 분석해야 하는 만큼 꽤 긴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우선 문제는 3자가 지분을 똑같이 나눠야 하는 것이다.

기아특수강은 계속된 적자경영으로 주주들에 대한 배당이 없었던 만큼
증자를 통한 주식분배는 불가능하다.

전환사채(CB)의 발행도 블가능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기아자동차 아시아자동차 기아정기가 갖고 있는 기아특수강 지분을
3사에 똑같은 비율로 나눠 대우와 현대가 사들이는 방법밖에는 없다는 분석
이다.

현재 기아그룹이 갖고 있는 기아특수강 주식은 7백31만5천주로 전체 발행
주식의 26.15%이다.

그러나 여기에 이미 발행해 계열사가 갖고 있는 3백억원 규모의 CB가 전환
되면 지분은 약 43%가 된다.

3사는 증시에서 주식 17% 정도를 더 사모아 60%의 지분을 20%씩으로 나눠
갖는다는 복안이다.

문제는 지급보증을 나누는 문제다.

현재 기아특수강에 걸려 있는 지급보증규모는 1조1천억원.

모두 기아자동차의 보증분이다.

공동경영이 아직 국내에 생소한 경영형태여서 이 부분이 어떻게 처리될지는
확실치 않지만 "공동"이라는 명분이 있는 만큼 지급보증도 지분대로 나눠야
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급보증은 나누지 않고 경영정상화를 통해 해결키로 했다.

지급보증을 갱신해야 할 경우는 3자 보증 형태로 한다는 것이다.

현대나 대우에는 부담이 클수밖에 없다.

경영진 문제는 대체로 윤곽이 나오고 있다.

경영진이야 각사 동등한 비율로 배분되겠지만 최고경영자는 3자 영입
케이스의 가능성이 가장 높다.

특수강이 자동차의 기초소재를 다루고 있는 만큼 업체들 모두 경영의
주도권보다는 특수강의 개발과 생산에 전념할수 있는 체제를 갖추기를
원하고 있어서다.

물론 공동경영체제에서 올수 있는 경영의 비효율성을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문제는 남아 있다.

각사가 출자를 한 회사에서 생산품의 공급도 서로 논의돼야 하는 부분이다.

회사를 빠른 시일내에 정상화시켜 이익을 남기는 것 자체가 중요한 까닭
이다.

어쨌든 각 회사들은 이번 공동경영 합의를 계기로 보다 폭넓은 제휴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번 특수강 사례처럼 기아의 다른 계열사를 공동경영하는 형태는
불가능해 보인다.

특수강의 경우처럼 3사 모두에 실리와 명분을 만족시켜 주는 사례를 찾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 김정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