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동차공업협회 회장단과 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 이사진이 5일 오전
긴급 연석회의를 갖고 기아사태로 부동업체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등 위기
상황이 자동차업계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 정부에 강력하고 보다
실효성있는 대책마련을 요구할 방침이다.

또 정부와 채권단이 기아사태를 무리하게 3자 인수로 밀어가고 있다며
기아그룹의 회생을 전제로 사태해결에 나서 줄 것을 초구키로 했다.

업계 관계자는 4일 "정부및 채권단이 기아그룹의 위기를 단지 기아자동차
아시아자동차에 국한된 문제로 잘못 분석하고 있다"며 "기아그룹 사태가
더 심각해질 경우 기아그룹 협력사는 물론 한국 자동차산업의 기반 자체가
무너진다는 점을 보다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채권단이 기아그룹을 부도유예하되 자금지원은 않겠다고
결정한 것은 협력업체들의 잇단 도산을 수수방관하겠다는 의미로밖에
받아들일수 없다"고 말했다.

기아그룹 사태이후 지난 2일까지 부도를 내고 쓰러진 부품업체는 모두
10개사이며 이밖에 상당수의 기업이 1차 부도를 내는 등 한계상황에 몰려
있다.

더욱이 이들은 납품대로 받은 기아 어음이 아직도 할인되지 않는 상황이어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협회와 조합은 이날 연석회의에서 부품업체의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다.

협회와 조합은 이날 연석회의에서 부품업체의 현 경영상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부및 금융권에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에는 정몽규 협회화장(현대자동차 회장)과 유희춘 조합이사장을 비
롯해 김태구 대우자동차회장 한승준 기아자동차부회장 이종규 쌍용자동차사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 김정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