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면톱] 어음부도율 15년만에 최고 .. 지난달 서울 0.23%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보와 삼미그룹의 부도사태 여파가 진정되면서 한풀 꺾였던 서울지역의
어음부도율이 기아사태로 또다시 지난 82년 이철희.장영자사건이후 15년만에
최고치로 상승했다.
5일 재정경제원에 따르면 지난 7월중 서울지역 어음부도율(전자결제
조정전 기준) 0.23%로 지난 5,6월 2개월간 다소 낮아졌다가 기아사태로
또다시 15면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지역 어음부도율은 지난 1월중 한보 부도사태로 0.19%로 뛰어오른뒤
협력업체들의 연쇄부도가 일어나면서 2월에는 0.23%에 달해 지난 82년 이후
최고치로 상승했고 3월에는 0.22%로 다소 낮아졌으나 삼미 진로그룹의
부도및 부도유예 여파로 4월에는 다시 0.23%로 상승했다.
그러나 이들 그룹의 부도여파가 진정되면서 5월과 6월에는 연속 0.20%에
머물러 하향 안정세를 보였으나 7월에는 다시 높아졌다.
한편 하루 부도율로도 기아그룹에 대해 부도유예협약을 적용하기로 결정한
지난달 15일이 0.59%로 올들어 한보 삼미 진로 대농등 다른 재벌그룹들이
부도를 냈거나 부도유예 처리된 날의 부도율중 최고를 기록했다.
한보그룹이 부도를 낸 지난 1월25일의 서울지역 어움부도율은 0.40%,
삼미그룹이 부도를 낸 지난 3월20일에는 0.43%, 진로그룹에 대해 부도유예
협약 적용결정이 내려진 지난 4월21일에는 0.41%에 각각 그쳤으며 대농그룹
이 부도유예처리된 지난 5월20일에는 0.28%에 머물렀다.
그러나 기아사태가 발생한 후인 지난 7월18일에 0.34%를 기록한데 이어
19일 0.33%, 21일 0.39%, 22일 0.37% 등으로 4일 연속 0.3%대의 높은
부도율을 보였으며 월말에도 지난 28일에 0.39%를 나타낸 이후 30일 0.37%,
31일 0.46%를 각각 기록했다.
< 김성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6일자).
어음부도율이 기아사태로 또다시 지난 82년 이철희.장영자사건이후 15년만에
최고치로 상승했다.
5일 재정경제원에 따르면 지난 7월중 서울지역 어음부도율(전자결제
조정전 기준) 0.23%로 지난 5,6월 2개월간 다소 낮아졌다가 기아사태로
또다시 15면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지역 어음부도율은 지난 1월중 한보 부도사태로 0.19%로 뛰어오른뒤
협력업체들의 연쇄부도가 일어나면서 2월에는 0.23%에 달해 지난 82년 이후
최고치로 상승했고 3월에는 0.22%로 다소 낮아졌으나 삼미 진로그룹의
부도및 부도유예 여파로 4월에는 다시 0.23%로 상승했다.
그러나 이들 그룹의 부도여파가 진정되면서 5월과 6월에는 연속 0.20%에
머물러 하향 안정세를 보였으나 7월에는 다시 높아졌다.
한편 하루 부도율로도 기아그룹에 대해 부도유예협약을 적용하기로 결정한
지난달 15일이 0.59%로 올들어 한보 삼미 진로 대농등 다른 재벌그룹들이
부도를 냈거나 부도유예 처리된 날의 부도율중 최고를 기록했다.
한보그룹이 부도를 낸 지난 1월25일의 서울지역 어움부도율은 0.40%,
삼미그룹이 부도를 낸 지난 3월20일에는 0.43%, 진로그룹에 대해 부도유예
협약 적용결정이 내려진 지난 4월21일에는 0.41%에 각각 그쳤으며 대농그룹
이 부도유예처리된 지난 5월20일에는 0.28%에 머물렀다.
그러나 기아사태가 발생한 후인 지난 7월18일에 0.34%를 기록한데 이어
19일 0.33%, 21일 0.39%, 22일 0.37% 등으로 4일 연속 0.3%대의 높은
부도율을 보였으며 월말에도 지난 28일에 0.39%를 나타낸 이후 30일 0.37%,
31일 0.46%를 각각 기록했다.
< 김성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