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L기 추락원인 다각 조사...미 교통안전위원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괌=김준연 기자 ]미연방교통안전위원회(NTSB)는 10일 한국정부조사반과
합동으로 급격한 기상악화, 조종사의 과실이나 관제요원의 실수, 기체결함
등의 사고가능성에 대해 집중적인 조사를 했다.
NTSB는 또 이날오후 폴 R 뮤센칙을 반장을 하는 3명의 KAL801편 사고
조사반을 한국에 파견했다.
조사단은 이날 사고기가 안정된 상태로 착륙을 준비하다 고도가 비정상적
으로 낮아져 니미츠 힐 언덕과 충돌한 점을 중시, 사고현장에서 수거한
조종석내의 각종 계기판 등을 정밀분석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조사단은 고도계.기압계.속도계등 조종석 계기들이 가리키는 수치들을
분석,사고당시 항공기의 운항상황을 파악 했으며 일부 디지털 기기들은
전력을 넣을 경우 사고당시 입력돼 있던 수치들을 확인 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사단은 또 일본 JAL 소속 943편 항공기가 주말인 9일 괌 아가냐공항에
착륙을 시도하다 갑자기 급상승한 뒤 재착륙한 것이 이번 사고와도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관제탑 관계자 등을 상대로 JAL 항공기의 1차 착륙 실패
경위를 조사중이다.
한편 이날 미워싱턴에서 한국측 전문가 3명이 참여한 가운데 사고기의
블랙박스 해독작업을 시작한 NTSB는 이번 사고의 원인을 규명할 유용한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알려졌다.
이와 관련, NTSB 관계자는 "블랙박스에서 유용한 자료를 확보했다고
하더라도정확한 추락원인을 규명하는 데는 수주일이 걸릴 수 있다"며
"현재로서는 사고원인을 단정하기에 이르다"고 말했다.
NTSB의 괌 현지 조사책임자인 조지 블랙 위원은 "사람의 잘못(HUMAN
ERROR)은아직 발견되지 않았다"면서 "두가지 이상의 요소가 결합돼 사고가
난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1일자).
합동으로 급격한 기상악화, 조종사의 과실이나 관제요원의 실수, 기체결함
등의 사고가능성에 대해 집중적인 조사를 했다.
NTSB는 또 이날오후 폴 R 뮤센칙을 반장을 하는 3명의 KAL801편 사고
조사반을 한국에 파견했다.
조사단은 이날 사고기가 안정된 상태로 착륙을 준비하다 고도가 비정상적
으로 낮아져 니미츠 힐 언덕과 충돌한 점을 중시, 사고현장에서 수거한
조종석내의 각종 계기판 등을 정밀분석하는 작업에 들어갔다.
조사단은 고도계.기압계.속도계등 조종석 계기들이 가리키는 수치들을
분석,사고당시 항공기의 운항상황을 파악 했으며 일부 디지털 기기들은
전력을 넣을 경우 사고당시 입력돼 있던 수치들을 확인 할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사단은 또 일본 JAL 소속 943편 항공기가 주말인 9일 괌 아가냐공항에
착륙을 시도하다 갑자기 급상승한 뒤 재착륙한 것이 이번 사고와도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관제탑 관계자 등을 상대로 JAL 항공기의 1차 착륙 실패
경위를 조사중이다.
한편 이날 미워싱턴에서 한국측 전문가 3명이 참여한 가운데 사고기의
블랙박스 해독작업을 시작한 NTSB는 이번 사고의 원인을 규명할 유용한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알려졌다.
이와 관련, NTSB 관계자는 "블랙박스에서 유용한 자료를 확보했다고
하더라도정확한 추락원인을 규명하는 데는 수주일이 걸릴 수 있다"며
"현재로서는 사고원인을 단정하기에 이르다"고 말했다.
NTSB의 괌 현지 조사책임자인 조지 블랙 위원은 "사람의 잘못(HUMAN
ERROR)은아직 발견되지 않았다"면서 "두가지 이상의 요소가 결합돼 사고가
난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