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 경영진 퇴진, 후 전문경영인 파견"

정부의 기아 경영진 퇴진 고수 입장은 여전히 완강한 것으로 감지되고 있다.

재경원의 고위 관리들은 경영진 문제는 기아 문제의 본질이라며 이 부분이
확실히 되지 않는한 추가지원이 없다는 금융단의 결정을 거듭 지지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개인적인 의견을 전제로 일부 인사들에 대한 사법적 대응까지
흘리고 있다.

또 다른 일각에서는 앞으로 1주일 정도면 경영진 문제는 매듭지어질
것이라고 단언하고도 있다.

기아가 채권단과 협의할 문제를 대중 집회등을 통해 정치적 성격으로 비화
시키고 있다며 불쾌한 표정도 감추지 않고 있다.

강경식 부총리의 입장도 강경하긴 마찬가지다.

"협력업체의 부도는 기아그룹이 책임질 문제"이며 "경영진 문제는 채권단의
판단이 옳다"는 것이다.

재경원의 논리는 경영진의 물갈이가 없이는 채권금융단이 원하는 수준의
자구노력 이행과 정상화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데 모아져 있다.

재경원과 채권금융단은 <>아시아자동차 매각 <>기아특수강에 대한 산업은행
부채의 출자전환 <>단계적인 임직원 대규모 감축등이 이뤄져야만 기아가
자동차 전문그룹으로 재기할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기아특수강에 대한 현대및 대우그룹의 공동경영도 자칫 이들 기업의 동반
부실화를 유발할수 있는만큼 내심 반대하는 입장이다.

재경원은 기아그룹의 자금난이 더욱 심화되면 책임 시비등으로 현재의
김회장 지지분위기가 차츰 바뀌면서 결국 김회장이 물러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과거 빚덩어리 한국중공업을 정상화하는데 기여한 안천학
전사장이나 박운서 사장등 부실기업 해결전문가를 최고경영진으로 파견,
채권금융단과의 긴밀한 협조아래 강도높은 회생노력을 본격적으로 추진할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재경원은 이같은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오는 9월말로 예정된 부도유예
기간을 1년간 연장한뒤 기아그룹 재생의 최대 걸림돌인 기아특수강을 사실상
국책은행의 자회사로 편입시켜 해결의 실마리를 찾도록 할 방침이다.

물론 끝내 최고경영진이 옥쇄를 고집한다면 부도처리후 법정관리의 순서를
밟을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 최승욱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