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면톱] 국산 TDX '1천만회선 시대'..보급 11년만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된 국산TDX 전전자교환기가 국내 1가구당 1회선이
공급되는 1천만회선 개통시대를 맞는다.
11일 한국통신에 따르면 지난 86년 3월 전곡 가평 무주 고령등에 최초
개통되면서 교환기술자립 시대를 연 국산TDX 전전자교환기가 11년 7개월만인
오는 10월10일 국내 1천만회선 공급및 개통을 맞게된다.
정보통신부는 이날 인천 송도전화국에서 국내및 해외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1천만회선개통 기념식을 대대적으로 개최할 방침이다.
국산TDX 전전자교환기 1천만회선은 전체 시내교환시설인 2천3백84만1천
회선의 42.6%에 이른다.
기종별로는 최초개발 품목인 TDX-1/1A가 1백6만회선, TDX-1B
5백21만3천회선, TDX-10A 3백88만9천회선 등이다.
국산TDX는 86년3월 TDX-1(시험생산기) 6천회선의 개통을 시작으로
87년3월 1A 1만3천회선, 89년4월 중용량의 1B 4천회선, 91년11월 대용량의
10기종 1만3천회선 개통을 거쳐 92년8월 TDX 5백만회선개통시대를 맞았다.
이후 96년9월 개량형의 10A가 공급되기 시작했으며 오는 10월중
1천만회선 공급의 역사를 만들게 됐다.
TDX교환기는 91년2월 베트남에 최초로 수출이 이뤄지면서 해외진출의
기반을 마련한 이후 러시아 중국 필리핀 등 15개국에 3백92만회선(금액
5억7천만달러)이 공급되기도 했다.
국산전전자교환기는 지난 82년부터 전자통신연구원및 관련 기업체인
LG정보통신 삼성전자 대우통신 한화전자정보통신등이 참가, 총 1천5백억원의
자금을 들여 지속적인 개발을 해왔다.
이를통해 현재 멀티미디어를 수용하는 ISDN(종합정보통신망)기능및
지능망서비스 인터넷및 동영상전송과 유무선통합의 복합서비스 구현등의
첨단기능을 갖추고 있다.
< 윤진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2일자).
공급되는 1천만회선 개통시대를 맞는다.
11일 한국통신에 따르면 지난 86년 3월 전곡 가평 무주 고령등에 최초
개통되면서 교환기술자립 시대를 연 국산TDX 전전자교환기가 11년 7개월만인
오는 10월10일 국내 1천만회선 공급및 개통을 맞게된다.
정보통신부는 이날 인천 송도전화국에서 국내및 해외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1천만회선개통 기념식을 대대적으로 개최할 방침이다.
국산TDX 전전자교환기 1천만회선은 전체 시내교환시설인 2천3백84만1천
회선의 42.6%에 이른다.
기종별로는 최초개발 품목인 TDX-1/1A가 1백6만회선, TDX-1B
5백21만3천회선, TDX-10A 3백88만9천회선 등이다.
국산TDX는 86년3월 TDX-1(시험생산기) 6천회선의 개통을 시작으로
87년3월 1A 1만3천회선, 89년4월 중용량의 1B 4천회선, 91년11월 대용량의
10기종 1만3천회선 개통을 거쳐 92년8월 TDX 5백만회선개통시대를 맞았다.
이후 96년9월 개량형의 10A가 공급되기 시작했으며 오는 10월중
1천만회선 공급의 역사를 만들게 됐다.
TDX교환기는 91년2월 베트남에 최초로 수출이 이뤄지면서 해외진출의
기반을 마련한 이후 러시아 중국 필리핀 등 15개국에 3백92만회선(금액
5억7천만달러)이 공급되기도 했다.
국산전전자교환기는 지난 82년부터 전자통신연구원및 관련 기업체인
LG정보통신 삼성전자 대우통신 한화전자정보통신등이 참가, 총 1천5백억원의
자금을 들여 지속적인 개발을 해왔다.
이를통해 현재 멀티미디어를 수용하는 ISDN(종합정보통신망)기능및
지능망서비스 인터넷및 동영상전송과 유무선통합의 복합서비스 구현등의
첨단기능을 갖추고 있다.
< 윤진식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