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대통령의 올해 8.15 경축사는 과거와 달리 특별한 대북제의를 담지
않고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와 국민적 과제를 정리한
것으로 볼수 있다.

재임기간중의 대북정책을 총괄평가하면서 4자회담 북한식량난해결방안 등
앞으로의 남북관계에 대한 기본방향을 제시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번 광복절 경축사는 김대통령의 재임기간중 마지막 경축사라는 점에서
그동안의 정책기조를 총정리한 문민정부 대북정책의 완결편이라는 인상을
주고 있다.

김대통령이 이날 제시한 <>북한의 무력포기 <>남북상호존중 <>신뢰구축
<>상호협력 등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4대 원칙에는 먼저 민족적 재난이
될 전쟁을 막고 평화정착을 위해서는 북한의 대남무력적화통일 노선의
완전한 포기가 전제돼야 한다는 정부의 기본인식을 담고 있다.

김대통령은 이와함께 현재 진행중인 "남북협력"의 방향을 4가지로 정리,
<>실질협력 <>민족발전 공동계획 추진 <> 북한의 한국 우방과의 관계개선
<>북한 당국의 변화로 제시했다.

이는 북한이 한국으로부터 도움을 받기 위해 보여야 할 자세를 강조한
것으로 볼수있다.

김대통령은 또 참다운 "광복의 완성"을 위해 북한뿐 아니라 우리 국민들이
이시점에서 노력해야할 과제들도 아울러 정리했다.

김대통령은 "참다운 광복의 완성은 아무런 노고없이 그냥 주어지지 않는다"
고 지적하면서 "통일국가""일류국가"를 이루기 위한 국민적 노력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평화수호를 위한 굳건한 국가안보 확립 <>정치 선진화와 15대
대선의 중요성 <>경제활력 회복 <>세계화.정보화의 적극적 추진 등 4대
국민적 과제를 제시했다.

김대통령은 "지금 우리가 해야할 일은 힘을 모으는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
우리 모두 다시 하나가 되자"고 국력결집을 거듭 호소했다.

<최완수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