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물가 억제목표 초과 .. 통계청, 7월 동향 발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소비자물가가 올들어 전체적으로는 보기드문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서민들이 느끼는 장바구니 물가인 기본생필품 물가상승률은 이미 올해 전체
소비자물가 억제목표를 크게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통계청이 내놓은 7월중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가 상승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기본생필품 50개 품목은 5.1%가 상승, 정부의 올해 물가상승률
억제목표 4.5%를 0.6%포인트나 초과했다.
특히 소비자들이 월 1회 이상 구매하는 필수품 58개 품목의 경우는 5.4%
상승해 더욱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기본생필품중 밀감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66.1% 상승해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으며 마늘이 35.6%, 사과가 24.9%, 쓰레기봉투료가 20.5%
등의 순이었다.
또 프로판가스가 17.7%, 스낵과자가 17.6%, 돼지고기가 14.5%, 휘발유가
13.0%, 목욕료가 11.7%, 등유가 10.8%의 상승률을 각각 보였다.
7월중에는 배추가 전달보다 24.9%, 스낵과자 17.6%, 무 14.7%, 마늘
13.8%, 돼지고기 3.3%, 라면 3.2%, 쓰레기봉투료 2.0%, 피아노학원비 1.5%,
쌀 0.6%, 전세금 0.3% 등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한편 피부물가의 하나인 개인서비스요금도 지난 7월중 휴가철을 맞은
피서지의 바가지요금 등으로 전년동기보다 6.5%가 상승, 물가오름세를 주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박영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6일자).
서민들이 느끼는 장바구니 물가인 기본생필품 물가상승률은 이미 올해 전체
소비자물가 억제목표를 크게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통계청이 내놓은 7월중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가 상승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기본생필품 50개 품목은 5.1%가 상승, 정부의 올해 물가상승률
억제목표 4.5%를 0.6%포인트나 초과했다.
특히 소비자들이 월 1회 이상 구매하는 필수품 58개 품목의 경우는 5.4%
상승해 더욱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기본생필품중 밀감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66.1% 상승해 가장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으며 마늘이 35.6%, 사과가 24.9%, 쓰레기봉투료가 20.5%
등의 순이었다.
또 프로판가스가 17.7%, 스낵과자가 17.6%, 돼지고기가 14.5%, 휘발유가
13.0%, 목욕료가 11.7%, 등유가 10.8%의 상승률을 각각 보였다.
7월중에는 배추가 전달보다 24.9%, 스낵과자 17.6%, 무 14.7%, 마늘
13.8%, 돼지고기 3.3%, 라면 3.2%, 쓰레기봉투료 2.0%, 피아노학원비 1.5%,
쌀 0.6%, 전세금 0.3% 등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한편 피부물가의 하나인 개인서비스요금도 지난 7월중 휴가철을 맞은
피서지의 바가지요금 등으로 전년동기보다 6.5%가 상승, 물가오름세를 주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박영태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