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카메라산업 기반 흔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카메라산업의 기반이 흔들리고있다.
대그룹계열의 카메라업체들이 채산성을 이유로 35 (일반 필름용)
카메라 자체개발및 생산을 잇달아 포기하고있고 일부 업체들도 조립과
수입판매를 통해 근근히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전락하고있기 때문
이다.
이에따라 21세기 고부가산업으로 꼽히는 광학응용산업은 국내의 경우
자립기관이 채 갖춰지기도 전에 유실되고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있다.
현재 국내에서 카메라 생산업체라고 불릴만한 기업은 삼성항공
아남정공 동원정밀등 3개사 정도다.
이중에서도 명실공히 "메이커"라고 할수있는 곳은 삼성항공 뿐이다.
동원정밀은 일본의 펜탁스제품을 주로 수입판매하면서 부분적으로
조립생산을 하고있는 정도. 사실상 카메라보다는 현미경 렌즈가공등에
더 치중하고있다.
아남산업은 카메라부품의 약 30%를 국산화해 니콘브랜드의 제품을
조립생산하고있으나 주요 부품의 대부분은 일본에서 가져다 쓰는
수준이다.
최근에는 35 카메라보다 전자산업에 가까운 디지털카메라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있다.
카메라사업에 의욕적으로 뛰어늘었던 현대전자 대우전자 LG등은
아예 카메라 자체생산을 포기했다.
현대전자는 지난7월 35 카메라사업에서 손을 떼기로하고 이천공장의
생산라인가동을 중단했다.
대신 일본제인 올림푸스제품을 수입판매하고 디지털카메라사업에
역점을 두기로 했다.
대우전자도 일본산 야시카제품을 수입판매하다 이를 중단하고 올초
카메라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털었다.
이에앞서 LG는 줌및 단촛점 카메라를 자체 개발하는등 한때 사업을
활발히 벌였지만 지난 94년을 전후해 갑자기 사업을 중단하고 카메라
생산라인 전체를 현대전자에 매각했다.
또 80년대 후반까지 카메라를 해외에 수출하는등 선수권역할을
해왔던 삼양광학공업도 90년대초 부도를 내고 지금은 쌍안경등 다른
제품에만 전념하고있다.
선경 신도리코등은 케논 리코등 완제품을 아예 수입해 판매하고있다.
이런 가운데 삼성항공만이 수출 3백만대를 포함해 연간 약 3백60만
대(3억달러)의 35 카메라를 생산하며 사업을 확장,눈길을 끌고있다.
삼성은 특히 세계적 카메라메이커인 독일의 롤라이사를 인수하고 중국
멕시코 인도등에 생산공장을 두는등 세계시장 확대를 가속화하고있다.
세계 시장점유율도 5-6%로 올려놨다.
70년대후반 카메라사업에 진출한뒤 90년대초 자체모델을 개발하기까지
10여년간 축적한 노하우와 연간 2백억원이 넘는 기술개발투자가
만들어낸 결실이다.
그러나 삼성도 일반필름용 카메라 자체에서는 아직 재미를 보지못하고
있다.
생산라인을 해외로 이전하고 디지털카메라 감시용카메라 계측기기
실물화상기등 광학응용산업으로 발빠르게 움직이고있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국내 카메라 업체들이 활기를 잃어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선 지속적인 기술투자가 요구되는 반면 수익등 가시적인 성과는
더디게 나타나는 카메라산업의 특성이 걸림돌이 되고있다.
실제로 발을 뺀 국내 업체들은 하나같이 채산성을 그 이유로 들고있다.
국내시장이 협소하고 정체된 것도 업체들의 중요한 사업포기 요인이다.
지난해 국내시장 규모는 약 79만6천대선(약 1천5백억-1천6백억원)로
95년(81만1천대)에 비해 오히려 줄어들었다.
여기에다 일본제 밀수카메라도 악재로 작용하고있다.
밀수카메라는 국내 전체시장의 무려 20%(약 3백억원)를 점하는 것으로
국내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이에따라 상태로 빠져들고 있는 카메라산업과 광학응용산업을 발전시
키기 위해서는 기업 뿐아니라 범정부차원의 과감한 투자와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홍계인 한국광학기기협회전무는 "광학기술이 첨단기술이면서 모든
산업에 응용되는 기초과학기술의 성격을 띠고있어 장기적인 안목에서
투자되야한다"고 밝혔다.
또 독일과 같이 연구개발비의 25%를 정부에서 아무 조건없이 지원하는
적극적인 지원책만이 한국 카메라산업을 키울수있다고 삼성항공 관계자는
강조했다.
35mm 카메라 이외의 디지털카메라 APS 감시용카메라 계측기기등 광학
응용분야로의 사업다각화 역시 카메라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미
룰수없는 과제라고 업게관계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사업은 10-15%아래로 줄이고있다.
< 김철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8일자).
대그룹계열의 카메라업체들이 채산성을 이유로 35 (일반 필름용)
카메라 자체개발및 생산을 잇달아 포기하고있고 일부 업체들도 조립과
수입판매를 통해 근근히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전락하고있기 때문
이다.
이에따라 21세기 고부가산업으로 꼽히는 광학응용산업은 국내의 경우
자립기관이 채 갖춰지기도 전에 유실되고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있다.
현재 국내에서 카메라 생산업체라고 불릴만한 기업은 삼성항공
아남정공 동원정밀등 3개사 정도다.
이중에서도 명실공히 "메이커"라고 할수있는 곳은 삼성항공 뿐이다.
동원정밀은 일본의 펜탁스제품을 주로 수입판매하면서 부분적으로
조립생산을 하고있는 정도. 사실상 카메라보다는 현미경 렌즈가공등에
더 치중하고있다.
아남산업은 카메라부품의 약 30%를 국산화해 니콘브랜드의 제품을
조립생산하고있으나 주요 부품의 대부분은 일본에서 가져다 쓰는
수준이다.
최근에는 35 카메라보다 전자산업에 가까운 디지털카메라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있다.
카메라사업에 의욕적으로 뛰어늘었던 현대전자 대우전자 LG등은
아예 카메라 자체생산을 포기했다.
현대전자는 지난7월 35 카메라사업에서 손을 떼기로하고 이천공장의
생산라인가동을 중단했다.
대신 일본제인 올림푸스제품을 수입판매하고 디지털카메라사업에
역점을 두기로 했다.
대우전자도 일본산 야시카제품을 수입판매하다 이를 중단하고 올초
카메라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털었다.
이에앞서 LG는 줌및 단촛점 카메라를 자체 개발하는등 한때 사업을
활발히 벌였지만 지난 94년을 전후해 갑자기 사업을 중단하고 카메라
생산라인 전체를 현대전자에 매각했다.
또 80년대 후반까지 카메라를 해외에 수출하는등 선수권역할을
해왔던 삼양광학공업도 90년대초 부도를 내고 지금은 쌍안경등 다른
제품에만 전념하고있다.
선경 신도리코등은 케논 리코등 완제품을 아예 수입해 판매하고있다.
이런 가운데 삼성항공만이 수출 3백만대를 포함해 연간 약 3백60만
대(3억달러)의 35 카메라를 생산하며 사업을 확장,눈길을 끌고있다.
삼성은 특히 세계적 카메라메이커인 독일의 롤라이사를 인수하고 중국
멕시코 인도등에 생산공장을 두는등 세계시장 확대를 가속화하고있다.
세계 시장점유율도 5-6%로 올려놨다.
70년대후반 카메라사업에 진출한뒤 90년대초 자체모델을 개발하기까지
10여년간 축적한 노하우와 연간 2백억원이 넘는 기술개발투자가
만들어낸 결실이다.
그러나 삼성도 일반필름용 카메라 자체에서는 아직 재미를 보지못하고
있다.
생산라인을 해외로 이전하고 디지털카메라 감시용카메라 계측기기
실물화상기등 광학응용산업으로 발빠르게 움직이고있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국내 카메라 업체들이 활기를 잃어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선 지속적인 기술투자가 요구되는 반면 수익등 가시적인 성과는
더디게 나타나는 카메라산업의 특성이 걸림돌이 되고있다.
실제로 발을 뺀 국내 업체들은 하나같이 채산성을 그 이유로 들고있다.
국내시장이 협소하고 정체된 것도 업체들의 중요한 사업포기 요인이다.
지난해 국내시장 규모는 약 79만6천대선(약 1천5백억-1천6백억원)로
95년(81만1천대)에 비해 오히려 줄어들었다.
여기에다 일본제 밀수카메라도 악재로 작용하고있다.
밀수카메라는 국내 전체시장의 무려 20%(약 3백억원)를 점하는 것으로
국내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이에따라 상태로 빠져들고 있는 카메라산업과 광학응용산업을 발전시
키기 위해서는 기업 뿐아니라 범정부차원의 과감한 투자와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홍계인 한국광학기기협회전무는 "광학기술이 첨단기술이면서 모든
산업에 응용되는 기초과학기술의 성격을 띠고있어 장기적인 안목에서
투자되야한다"고 밝혔다.
또 독일과 같이 연구개발비의 25%를 정부에서 아무 조건없이 지원하는
적극적인 지원책만이 한국 카메라산업을 키울수있다고 삼성항공 관계자는
강조했다.
35mm 카메라 이외의 디지털카메라 APS 감시용카메라 계측기기등 광학
응용분야로의 사업다각화 역시 카메라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미
룰수없는 과제라고 업게관계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사업은 10-15%아래로 줄이고있다.
< 김철수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