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 (인터뷰) 김경길 <금고연합회 서울지부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고연합회 김경길 서울지부장은 "기업금융으로 부실이 많은 대형금고보다
소형금고가 오히려 건실한 경우가 많다"며 "중소형금고를 차등 육성할수 있는
정책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정부의 금고정책이 대형금고 위주로 흘러가고 있는데.
"진입자유화 차원에서 대형금고를 지방은행으로 전환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동안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으로서 묵묵히 지역경제를
떠받쳐온 중소형금고에도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지점신설이 일부 허용됐는데.
"자기자본규모등이 작은 중소형금고는 혜택받기가 힘든데다 실제
자금여력도 많지 없다.
따라서 중소형금고에는 3~4명의 인원과 소자본으로 발빠르게 영업할수
있는 출장소가 필요하다"
-금고법개정안의 골자는.
"은행권처럼 모든 예적금을 취급할수 있게돼 상품개발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금고의 영업력이 증대되고 고객도 지금보다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받을수 있게 된다"
-금융개방으로 금고의 영업이 어려워질것이라는 전망도 있는데.
"은행보다 인력이동이 적고 고객밀착영업을 하는 금고가 생산성면에서
은행을 크게 앞지르고 있다.
규제만 완화된다면 금융시장이 개방된다해도 금고의 틈새시장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25일자).
소형금고가 오히려 건실한 경우가 많다"며 "중소형금고를 차등 육성할수 있는
정책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정부의 금고정책이 대형금고 위주로 흘러가고 있는데.
"진입자유화 차원에서 대형금고를 지방은행으로 전환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동안 지역밀착형 서민금융기관으로서 묵묵히 지역경제를
떠받쳐온 중소형금고에도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지점신설이 일부 허용됐는데.
"자기자본규모등이 작은 중소형금고는 혜택받기가 힘든데다 실제
자금여력도 많지 없다.
따라서 중소형금고에는 3~4명의 인원과 소자본으로 발빠르게 영업할수
있는 출장소가 필요하다"
-금고법개정안의 골자는.
"은행권처럼 모든 예적금을 취급할수 있게돼 상품개발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금고의 영업력이 증대되고 고객도 지금보다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받을수 있게 된다"
-금융개방으로 금고의 영업이 어려워질것이라는 전망도 있는데.
"은행보다 인력이동이 적고 고객밀착영업을 하는 금고가 생산성면에서
은행을 크게 앞지르고 있다.
규제만 완화된다면 금융시장이 개방된다해도 금고의 틈새시장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8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