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백화점 부도에 이은 국제종합토건 부도로 부산경제의 위기감이 고조
되면서 부산상공회의소 시민단체 협력회사 등을 중심으로 국제종합토건
살리기가 확산되고 있다.

부산상의는 2일 부산상의 회의실에서 강병중 상의회장과 문정수 부산시장
채권 금융기관장 18명 건설업종 상의위원 10명 등 30여명이 참석한 조찬
간담회를 갖고 국제종합토건 정상화 및 지원방안을 모색했다.

부산상의는 이날 국제종합토건의 화의신청이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채권단
대표들에게 협조를 당부하고 국제종합토건 공사의 83%가 관급공사인 만큼
부산시를 비롯한 공공기관에게 기성금을 조속히 지급해 줄 것을 요청했다.

특히 국제종합토건이 부동산 매각과 경영 합리화 조치를 더욱더 강화하는
등 자구노력을 기우려 줄 것을 촉구했다.

부산경제살리기시민운동본부도 부산시와 시의회 경제관련단체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오는 10일 지역경제 회생노력을 위한 범시민토론회를 열기로
하는 등 향토기업을 살리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또 태화와 국제토건 등 대표적인 향토기업들이 부도가 난 뒤에야 사후
대책에 나서는 것은 위기의 부산경제를 살릴 수 없다며 부도 예방을 위한
시민대표 지역 국회의원 등이 참여하는 상설기구 설치를 추진키로 했다.

시민운동본부는 이에 앞서 지난달 29일 수주공사중 80% 이상이 관급공사인
국제종합토건이 파산할 경우 결국 그 부담이 시민들에게 돌아온다며 해결을
위해 우선 법원이 화의신청을 받아줄 것을 촉구했다.

국제종합토건 2백여 협력회사 대표들도 지난달 29일 국제종합토건 빌딩
에서 부도도 대책회의를 가졌다.

이들은 국제종합토건이 수년동안 흑자를 내왔고 크게 방만한 경영을 한
부분도 없는 만큼 경영권을 유지한 채 정상적으로 기존사업을 진행키로
하는데 합의하고 채권단 대표를 선정, 회사살리기운동에 나서기로 결의했다.

국제종합토건은 지난해 1천3백90억원의 매출을 기록, 지역 건설업체중
2위에 랭크됐으나 지난달 25,26일 72억원의 부도를 내고 부산지방법원에
화의와 재산보전을 신청한 상태다.

< 부산=김태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