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농림부가 최근 국내에 식중독균인 리스테리아에 오염된 냉동
만두가 시판된데 대해 서로 책임전가 논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두 부처는 축산물 가공식품 관련 업무관장을 놓고 한창 티격태격하고
있는 처지여서 두부처가 만두삭 을 계기로 밥그릇싸움을 하고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이달초 보건보지부가 국내 모식품회사에서 제조한 냉동만두
에서 식중독을 일이키는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됐다고 발표하면서부터.

복지부 산하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본부는 만두의 원료로 사용된 수입 돼지
고기가 이 균에 오염돼 이같은 일이 벌어졌다고 지적, 원료로 사용된 돼지
고기를 전량 폐기처분토록 했다고 밝혔다.

이에대해 수입고기 검역업무를 관장하고 있는 농림부는 지난 8일 냉동식품
중 리트레리아균 검출보도에 대한 검토의견이라는 문서를 통해 복지부의
주장을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리스테리아균은 자연환경속에 흔히 존재하는 균의 일정이며 국제적으로도
검역기준이 정해지지 않았다는 것.

보건복지부 고시인 식품공전에도 원료육에 대한 기준이 없으며 지난해
법개정으로 오염빈도가 높은 것을 선별해서 검역토록해 오염된 돼지고기가
들어온데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또 복지부가 만두원료로 사용된 돼지고기를 압류, 폐기토록 한 것은 통상
마찰을 일으키는 불필요한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통상 모니터링차원에서 조사하는 것은 공개하지 않는 관례를
깨고 언론에 발표한 것 자체가 동기의 순수성을 의심받을만 하다고 비판했다.

사태가 이쯤되자 복지부는 10일 농림부의 주장을 다시 반박하는 문건을
배포했다.

복지부는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식품이 식중독균에 오염돼 있는 상황에서
국민에게 알리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발끈하고 나섰다.

고기를 폐기처분한 것은 통상마찰을 일이킬 수 있다는 농림부의 주장은
국민건강을 고려하지 않는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또 식품공전에 원료인 구비요건 등이 명확히 기재돼 있다고 지적, 농림부의
주장은 복지부의 역할조사 결과를 오도해 정부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행위라고 비난했다.

흑산물 업계관계자들은 이에 대해 "국민은 축산물가공식품 업무를 누가
맡느냐가 아니라 안전하게 식품을 사먹을 수 있느냐에 있다"며 "두 부처가
염불보다는 잿밥에 더 관심이 있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현재 축산물 가공식품관련 업무는 보건복지부가, 축산물을 키우거나 수입
하는 업무는 농림부가 맡고 있다.

최근 농림부는 이원화된 이같은 체계를 농림부로 일원화해야 한다고 주장,
국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중이다.

< 조주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9월 11일자).